각국의 자원과 에너지의 무기화 현상이 점점 심화하면서 기업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. <br /> <br />이번 요소수 사태에 이어 또 다른 '자원 품귀 현상'과 '에너지 대란'이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김상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요소수가 있는 주유소인지 아닌지 소비자들은 요즘 감각적으로 알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귀암 / 화물차 운전자 : 어느 주유소에 기름이 있는지 모른다고. 요소수가 있는지도 모른다고. 아무 정보도 없고 그냥 막, 차 밀린 곳에 가면, 화물차가 꽉 밀린 데 가면 요소수가 나오는 거예요. 엊그제 경우는 내 앞에서 끊겼다고…] <br /> <br />거점 주유소 100곳에 요소수가 우선 공급되는 등 중국발 요소수 대란 수습책이 진행 중이지만 사태 이전으로 돌아가긴 어렵다는 전망이 우세합니다. <br /> <br />석탄을 이용하는 요소 산업이 온난화의 주범인 탄소 배출의 핵심의 하나로 지목되면서 요소 생산 세계 1위인 중국의 변화가 불가피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재생에너지 활성화와 맞물린 탄소 중립이라는 지구촌의 화두는 공급 물량이 부족한 자원과 에너지 확보전쟁으로 이어져 통상 이슈가 됐습니다. <br /> <br />[고준성 /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(지난달 4차 신통상라운드테이블 회의) : 재생에너지의 출현이 사실은 에너지 국제 통상 규범 규율에 있어서 일대 전기가 된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수출의 한 축인 자동차 업계의 경우 최근 차 핵심부품인 마그네슘 재고가 넉넉지 않아 제2의 요소수 사태로 진행될까 걱정이 큽니다. <br /> <br />세계 마그네슘 공급을 중국이 무려 85%나 차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최근 로이터 통신 등 외신은 자동차 업계가 반도체 부족에 이어 마그네슘 부족을 겪을 수 있다고 보도해 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자원 수입도 문제지만 에너지 대부분을 수입하는 우리나라는 국제에너지 가격 폭등의 피해를 크게 입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원유와 가스 등을 합한 에너지 자원 수입액은 지난달 132억3천3백만 달러로 전달 대비 8.3% 상승했고 전년 동월 대비로는 무려 113.9%나 급등했습니다. <br /> <br />에너지 자원 수입액 증가는 무역수지에 직격탄을 날려 일 년 전에 비해 무려 약 3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사태에서 벗어나 세계경기가 회복되는 국면에서 한편으로는 각국의 자원과 에너지의 무기화 현상이 심화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로 인해 1970년대, 중동발 에너지 무기화로 물가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상우 (kimsang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1116045208790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