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1대, 12대 대통령을 지낸 전두환 씨는 정치군인으로 승승장구하다가 광주민주화운동을 진압한 뒤 대통령 자리에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천문학적인 비자금 조성과 권력 비리로 퇴임 이후 백담사에 은둔해 있다가 구속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오승엽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경남 합천 출생으로 육사를 졸업한 전두환 씨의 삶은 5·16 쿠데타 이후 쾌속 질주했습니다. <br /> <br />박정희 전 대통령의 눈에 띄어 국가재건최고회의에 참여하게 된 겁니다. <br /> <br />하나회를 만들어 정치군인의 길로 들어선 뒤 청와대 경호실 차장보를 거쳐 박정희 정권 말인 1979년엔 국군 보안사령관에 임명됐습니다. <br /> <br />박정희 전 대통령이 피살된 이후 하극상을 일으키며 군의 1인자로 떠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전두환으로 대표되는 신군부의 군사 독재 연장 시도에 맞서 1980년 5월 시위가 이어지자 계엄령을 전국에 선포하고 광주민주화운동을 유혈 진압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대통령선거 단일 후보로 나서서 제11대 대통령에 당선됐습니다. <br /> <br />[대한 뉴스 / 11대 대통령 취임식 : 대통령으로서의 직책을 성실히 수행할 것을 국민 앞에 엄숙히 선서합니다.] <br /> <br />이듬해 대통령선거인단의 간접선거로 임기 7년 단임의 12대 대통령에 취임하며 제5공화국 정부를 출범시킵니다. <br /> <br />재임 시절 '고성장 저물가'를 유지하며 처음으로 무역흑자시대를 여는 등 경제 성장을 이끌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갈수록 거세지는 민주화 요구는 임기를 1년 앞둔 1987년, 정부 이양을 골자로 한 '4·13 호헌조치'로 이어졌고, <br /> <br />직선제 개헌을 골자로 하는 노태우 당시 민정당 대표의 '6·29선언'을 통해 잦아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퇴임 이후 광주민주화운동 유혈 진압과 권력비리에 대한 책임자 처벌 요구가 거세지자, 1988년 대국민 사죄와 함께 재산 헌납을 발표하고 백담사에 2년 넘게 은둔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문민을 앞세운 김영삼 정부 출범 후 구속돼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특별사면으로 풀려났습니다. <br /> <br />2003년 전 재산이 29만 원이라며 추징금 납부를 거부하면서 지금까지 전체 추징금 2,205억 원 가운데 955억 원이 집행됐습니다. <br /> <br />YTN 오승엽입니다.<br /><br />YTN 오승엽 (smiling3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11123110728341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