추가 일상회복 '멈춤'…"소비 진작보다 방역 우선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단계적 일상회복 조치가 시행 한 달째에 접어들고 있죠.<br /><br />정부는 그간 내수를 진작하겠다며 각종 소비장려책을 동시에 펼쳤는데요.<br /><br />확진자와 위중증 환자 급증에 결국 일상회복 추가 단계 이행이 막히면서 너무 섣부른 조치였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한지이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이달 초 위드 코로나 시행에 맞춰 비대면 업종뿐 아니라 숙박, 관광, 외식 등 9개 분야의 소비 쿠폰을 통해 민간 소비 회복을 추진한 정부.<br /><br />코로나19 재확산으로 지난해 8월과 11월 두 차례 시행했다 멈췄던 할인권 발급을 재개한 건데, 정부는 내수 반등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 "현재까지 카드 매출액이 10% 이상 견조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, 소비자 심리지수도 110.6으로 3개월 연속 상승하였으며 경제의 회복을 견인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소비진작책이 하락하는 경제성장률을 끌어올리고 소상공인들의 어려움 해소를 위한 조치라는 겁니다. 하지만 단기간에 이뤄진 대폭의 방역규제 완화는 섣부른 조치였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접촉이 늘면서 확진자는 물론 위중증 환자까지 연일 급증하며 전국의 코로나19 유행 위험도가 최고단계인 '매우 높음' 수준까지 올랐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소비와 경기 회복을 장기적으로 이어가려면 당분간 확산세 억제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합니다.<br /><br /> "실질적인 감염 확산 통제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경제 자체에도 무리를 줄 수 있기 때문에 대면 소비 확대를 주로 목표로 하고 있는 정책들은 재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."<br /><br />방역지표의 급속한 악화로 특별방역대책을 시행해야 할 상황에선 소비 진작책도 잠시 되물려야 한다는 이야기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한지이입니다. (hanji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