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0월 산업생산 18개월 만에 최대감소…불확실성 커져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달 산업생산이 코로나19 사태가 터진 직후 이래로 가장 많이 줄었습니다.<br /><br />글로벌 공급망 차질에다 대체휴일도 이틀이 있어 제조업이 특히 부진했는데, 문제는 코로나19 변수에 불확실성이 더 커지고 있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조성미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10월 산업생산이 1.9% 감소하며, 코로나19 사태 직후인 지난해 4월 이후 1년 반 만에 가장 많이 줄었습니다.<br /><br />제조업 생산이 -3.1%로 특히 많이 줄었는데 차량용 반도체 부족 등 글로벌 공급망 문제가 여전했던데다, 대체휴일도 이틀이 있어 조업일수가 적었던 영향입니다.<br /><br />제조업 생산은 이로써 넉 달째 감소를 이어갔고, 설비투자도 5.4% 줄어 석 달째 감소했습니다.<br /><br />단계적 일상회복에 들어가기 직전인 지난달 서비스업 생산도 0.3% 줄었습니다.<br /><br />다만, 대면소비업종인 도소매업에선 4.3% 생산이 늘었고, 소비 동향을 알려주는 소매판매지수도 0.2% 상승했습니다.<br /><br />반면, 대대적 백신 접종 영향으로 8, 9월 증가했던 공공행정 부문 생산은 기저효과 등의 여파로 10월엔 8.9%의 큰 감소폭을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10월 산업활동동향에 대해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SNS에 올린 글에서 "10월 대부분의 지표가 비교적 큰 폭으로 하락했지만, 대체휴일 지정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와 9월 생산이 좋았던 기저효과가 있었다"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"11월에는 경기가 비교적 양호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, 경기상황은 전체 흐름을 보면서 판단할 필요가 있다"고 썼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문제는 앞으로입니다.<br /><br />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0.5포인트 낮아지며 넉 달째 떨어진데 이어 오미크론 변이 출현 등 코로나19로 인한 불확실성, 여전한 공급망 충격은 향후 실물경기의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조성미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