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도체난 여전한데 오미크론까지…완성차 업계 긴장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전 세계 완성차 업계가 코로나19 새 변이, 오미크론 등장에 잔뜩 긴장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으로 인한 출고 대란이 여전한데, 오미크론까지 확산하면 반도체 품귀 현상이 더 악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김종력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인한 완성차 업체의 생산 차질은 계속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도 벤츠와 BMW, GM 같은 수입차 브랜드들은 기약 없는 반도체 공급난 해소에 일부 부품과 기능을 뺀 채 차량을 출고 중입니다.<br /><br />현대자동차의 경우 지금 주문해도 싼타페 하이브리드는 8개월, 전기차 GV60은 1년이 지나야 차량을 받을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런 상황에서 코로나19 새 변이 오미크론이 등장하자 완성차 업계의 긴장감은 최고조에 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여름 델타 변이 유행 때처럼 오미크론 확산으로 차량용 반도체 생산 공장이 문을 닫으면, 반도체 품귀 현상이 더 악화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차량용 반도체 주요 생산지 말레이시아와 베트남은 백신 완전 접종률이 각각 76.8%, 49.9%로 다른 동남아 국가와 비교해 비교적 높은 편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오미크론은 델타 변이보다 전파력이 강하고, 기존 백신 효과를 떨어뜨릴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긴장을 늦출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 "변이 바이러스가 확산이 될 경우에는 반도체 공급뿐 아니라 수요 전체를 낮추어서 자동차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…"<br /><br />수요는 있는데 반도체 부족으로 차량을 만들지 못하고 생산 부족이 다시 실적 부진을 불러오는 악순환의 가능성에, 완성차 업체들은 지금 오미크론의 확산세를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종력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