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급 시계제로…서울 분양물량 10년 전 '반토막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아파트의 대체재 격인 오피스텔이나 빌라의 인기가 최근 비정상적인 과열 양상을 보였죠.<br /><br />원인은 역시 주택 공급 부족이었습니다.<br /><br />올해 서울의 아파트 분양 물량이 2000년대 들어 가장 적었던 겁니다.<br /><br />최지숙 기자가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사전청약 확대를 앞세워 정부는 연일 주택시장 공급 물량이 충분하다고 강조합니다.<br /><br />그런데, 시장 상황은 그렇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올해 서울 아파트 분양 물량은 모두 3,200여 가구.<br /><br />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서울에서 분양이 가장 적었던 해는 2010년인데, 올해는 이 때의 절반선 밖에 안 되는 겁니다.<br /><br />서울에 빈 공간이 거의 없다 보니 대규모 공급은 재건축·재개발로만 가능한데, 분양 일정이 곳곳에서 연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국내 최대 재건축 단지로 꼽히는 둔촌주공은 조합원 간 갈등 끝에 새 집행부를 꾸리고 내년 초 분양을 계획했지만, 공사비 등을 둘러싼 건설사와의 마찰로 이마저 불투명합니다.<br /><br /> "조합원들은 2023년 8월에 입주할 날만 손꼽아 기다리고 있습니다. (건설사가) 일방적으로 3개월~6개월 공사 기간을 늦추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 깜깜이 일반 분양을 강요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올해 분양 예정이었던 송파구 진주아파트나 동대문구 이문1구역도 분양가를 둘러싼 진통에 줄줄이 해를 넘기게 됐습니다.<br /><br />문제는 사업 기간이 길어질수록 분양가도 높아진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 "사업이 연기되면 조합의 사업 비용이나 금융 비용이 계속 늘어나 적체되다 보니 최종 일반 분양자들에게 공급되는 주택의 분양가도 올라갈 수밖에 없는 구조여서…"<br /><br />대규모 사업의 지연은 수급 불균형을 키우고, 이로 인해 최근 줄어든 서울 집값 상승 폭이 다시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지숙입니다. (js173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