불안한 위드코로나…"방역지침만으론 역부족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새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으로 위드코로나를 둘러싼 불안감은 계속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한 대형 호텔이 일반 고객들에게 확진자 발생을 알리지 않거나, 확진자 동선을 속이는 일 등이 잇따르면서 느슨해진 방역 의식을 다시 한번 점검해야할 때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최덕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서울 용산구의 한 대형호텔.<br /><br />최근 확진자가 방문하고 직원들도 연달아 감염됐지만, 동선이 겹치지 않은 대부분의 고객들은 이런 사실을 알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연말 모임이 잦아지고 위드코로나 후 숙박시설 이용객이 늘고 있어 일반 시민들이 감염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.<br /><br />문제는 이런 숙박·실내시설 등은 확진자 방문 사실을 알릴 의무 조항이 없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현행 체계에선 특정 시설에서 확진자가 발생하거나 다녀가면, 동선이 겹치는 경우에만 검사를 받도록 통지하면 문제되지 않습니다.<br /><br />당국의 역학조사 과정에서 허위진술을 하는 경우도 잇따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오미크론 국내 첫 확진자인 40대 목사 부부는 방역 당국에 동선을 사실대로 말하지 않아 사태를 키웠고, 확진된 교인의 동선을 숨기려 거짓말한 목사는 최근 벌금형을 선고받았습니다.<br /><br /> "장소가 너무 많고, 지역사회 감염이라는 게 이미 매우 폭넓은 상태이기 때문에. 접촉자 추적을 효율화·간소화 해서 최소한의 필요한 조치는 즉각 이뤄질 수 있게 하고, 마스크 착용이나 개인위생에 기대야 하는 부분이고요."<br /><br />앞서 네 차례에 걸친 코로나 대유행 상황에서 경험했듯, 당국의 강제적 방역지침만으론 지역사회 감염 확산을 막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.<br /><br />확진자가 매일 5천 명 안팎으로 쏟아져나오는 또 한 번의 위기상황.<br /><br />모두가 마음속 방역의 끈을 다시 한번 조일 때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. (DJY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