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 2018년 12월 10일 늦은 밤 계약직 노동자 김용균 씨가 발전소에서 홀로 작업하다 컨베이어 벨트에 끼어 사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로부터 꼭 3년이 지난 오늘 다른 노동자가 비슷한 사고로 또 세상을 떠났습니다. <br /> <br />김 씨의 죽음 이후 남겨진 이들이 약속한 '일하다 죽지 않는 사회'가 어디까지 왔는지, 김철희 기자가 살펴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공사장 정문이 굳게 닫혀 있고, 오가는 사람도 보이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새벽 시간 현장에서 작업하던 50대 노동자가 컨베이어 벨트에 끼어 숨지면서 공사가 전면 중단된 겁니다. <br /> <br />불순물을 빼내려다 사고를 당한 것으로 보이는데, 경찰은 안전 수칙이 제대로 지켜졌는지 확인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공사현장 관계자 : 정확한 사고 경위는 현장이랑 다 파악 중이고요. 문제가 없었는지 저희가 검토 중이고요.] <br /> <br />태안 화력발전소에서 일하던 비정규직 노동자 고 김용균 씨가 숨진 지 3년이 지났지만, 여전히 노동자들은 일하다 죽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 씨가 떠난 뒤 아무런 노력이 없었던 건 아닙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9년 출범한 '김용균 특조위'는 5개월 정도 사고 진상 조사 활동을 벌인 뒤 정부에 개선을 권고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[권영국 / '김용균 특조위' 민간위원 : 심층적인 원인을 조사하기 위해서 심혈을 기울였습니다. (이후) 정규직화 등을 포함한 22개의 개선 권고안에 대해서 정부에 권고한 바가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여전히 아쉬운 부분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발전 노동자들의 정규직화 문제나 노무비 착복 문제 등 첨예한 쟁점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는 것이 민간 위원들의 평가입니다. <br /> <br />개선 방안 논의 과정에서 현장 노동자 목소리를 직접 들으려는 노력이 부족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[이윤근 / '김용균 특조위' 민간위원 : (민간위원들이) 달을 가리키고 있는데, 정부에서 행한 이행점검의 내용은 달은 바라보지 못하고 그냥 손가락만 열심히 관찰한 그 결과이지 않았을까….] <br /> <br />정부 역시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부족한 부분이 있음을 인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협력업체 노동자의 정규직 전환과 발전소 보건의료체계 개선 등을 남겨진 숙제로 꼽았습니다. <br /> <br />김부겸 국무총리도 SNS를 통해 발전소 노동자들의 정규직 전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면목없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남겨진 사람들은 모든 노동이 차별받지 않으려면 중대재해처벌법 보완과 비정규직 처우 개선 등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철희 (kchee21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121022433611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