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요 7개국, G7이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러시아에 강력한 경고를 보내고 중국의 강압적인 정책에 우려를 표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에 대해서는 도발을 자제하고 외교적 절차에 참여할 것을 재차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진호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G7과 EU의 외교장관들은 영국 리버풀에서 개최된 G7 외교·개발장관회의 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 관해 별도 공동 성명을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[리즈 트러스 / 영국 외무장관 : 만약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있다면 심각한 비용이 수반되는 엄청난 결과가 있을 것임을 확인하는 G-7의 연합전선을 이번 주말에 봤습니다.] <br /> <br />외교장관들은 러시아가 긴장을 완화하고 외교 소통을 추구하며 투명한 군사 행위에 관한 국제 약속을 준수하기를 요구한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들은 "프랑스와 독일이 우크라이나 동부의 갈등을 풀기 위해 노르망디 형식을 추진하는 것을 지지한다"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노르망디 형식 회담은 우크라이나 분쟁 해결을 위한 우크라이나·러시아·독일·프랑스의 4자 회담을 뜻합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G7 외교장관들은 트러스 영국 외무장관이 발표한 의장 성명에서 중국의 강압적 경제정책에 관해 우려한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[리즈 트러스 / 영국 외무장관 : 우리가 보아온 중국의 문제는 세계무역기구 관련 지켜야할 규칙을 약화시켰다는 것이고 경제적 강압도 있습니다.] <br /> <br />G7 정상들은 지난 6월 공동성명에서 처음으로 중국을 정면으로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대중국 공세를 강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한 성명에는 북한에 도발을 자제하고 외교적 절차에 참여하라고 재차 촉구하는 내용도 담겼습니다. <br /> <br />이는 지난 5월 외교·개발장관회의 후 나온 공동성명과 같은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진호입니다.<br /><br />YTN 김진호 (jhkim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1213054033726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