행사 취소하고 다시 마스크…미국도 방역 고삐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도 코로나19 감염이 증가세를 보이는 가운데 오미크론 변이까지 맞물려 5차 재확산이 본격화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마스크 착용을 다시 요구하는 주가 늘고 있고 대학들은 다시 온라인 수업으로 속속 전환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 이경희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뉴욕타임스 자체 집계에 따르면 미국의 주간 하루 평균 코로나 신규 감염자는 12만 명을 넘었습니다.<br /><br />2주 만에 40% 늘었고 11월 초와 비교하면 70% 증가한 수치입니다. 존스홉킨스 대학 통계에서도 한달 전에 비해 하루 평균 신규 확진자 수는 40%, 하루 평균 사망자 수는 12%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입원환자 수도 7천명에 육박하며 한 달 전과 비교해 40%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중환자실 병상의 80% 가까이가 찼고, 그 중 5분의 1은 코로나19 환자라고 CNN은 전했습니다.<br /><br />5차 재확산 국면으로 접어들었다는 평가 속에 방역 조치는 속속 다시 강화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로드 아일랜드 주는 다음 주부터 실내 공간에서 백신 접종 여부와 관계없이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한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프린스턴, 코넬 등 대학들은 남은 수업과 시험을 온라인으로 전환했고 구글과 애플 등 실리콘밸리의 대표 기업들은 직원들의 사무실 복귀를 무기한 연기했습니다.<br /><br />9월 중순 다시 문을 연 뉴욕 브로드웨이 극장가도 출연자와 제작진의 감염 사례가 이어지며 공연 취소가 줄을 잇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오미크론 변이 확산과 맞물려 증가세는 더 가팔라질 가능성이 제기됩니다.<br /><br /> "오미크론 변이는 전염력이 가장 강력한 코로나 바이러스입니다. 3일에 2배씩 늘어나고 있습니다. 특별한 다른 이유가 없다면 미국에서도 곧 지배종이 될 것입니다."<br /><br />연말 연휴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내년 1월 오미크론 변이 감염이 절정에 달할 수 있다는 우려섞인 전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보건당국은 거듭 부스터샷을 포함한 백신 접종을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전문가 자문단은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부작용 사례가 확인된 얀센 백신 대신 mRNA 방식의 화이자, 모더나 백신을 맞을 것을 권고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