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가 지난주 코로나19 위험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 전국의 위험도가 4주 연속 '매우 높음'으로 평가됐습니다. <br /> <br />방역 당국은 코로나19 새 변이 오미크론이 국내에서도 한두 달 안에 우세종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김잔디 기자! <br /> <br />정부가 지난 한주 코로나19 위험도 평가 결과를 발표했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방역 당국은 매주 월요일 오후 브리핑에서 지난 한주 동안 코로나19 위험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공개하는데요. <br /> <br />지난주, 즉 12월 3주차 전국의 코로나19 위험도를 4주 연속, 최고 단계인 '매우 높음'으로 유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앙방역대책본부는 "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코로나19 방역 지표가 전반적으로 악화하며 수도권에서는 의료대응역량 한계 초과가, 비수도권 역시 한계에 임박한 상황"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전국의 코로나19 종합 위험도 뿐 아니라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위험도 역시 '매우 높음'으로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확산 세가 지속되면서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가 621명으로 계속 증가 추세에 있고, 주간 사망자 수도 434명으로 최다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60세 이상 확진자 숫자가 늘면서 위중증 환자가 늘고, 그에 따라 중환자 병상 가동률 역시 81.5%를 기록하며 의료 대응 역량 한계 상황에 달하는 등 방역 지표가 위험하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주간 감염재생산지수는 전주 1.23에서 지난주 1.15로 소폭 감소했지만, 여전히 유행 상황은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방역 당국은 지난 6일부터 특별방역대책 후속조치 시행에도 유행 확산세가 지속되고 있고, 오미크론 변이의 우세종화 가능성, 고령층 확진자 및 위중증 환자의 증가, 18세 이하 청소년 확진자 증가 등 위험요인이 여전하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, 60세 이상 3차 접종률이 빠르게 오르면서 전체 신규 환자 가운데 고령층이 차지하는 비율이 감소세를 보였다며, 이는 중환자 병상 가동률을 떨어뜨리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일상회복을 다시 추진할 수 있도록 내년 1월 2일까지 약 2주간 시행하는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조치에 적극 참여해 줄 것과 추가접종, 미접종자의 백신 접종을 다시 한 번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방역 당국이 국내에서도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이미 영국에서는 오미크론 변이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잔디 (jandi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1220161941343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