내부거래 더 많고 해외법인도 동원…허점투성이 지주회사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계열사 간 꼬리를 무는 출자구조를 지주회사 체제로 바꾸는 기업들의 명분은 '투명화'죠.<br /><br />하지만 지주회사 체제 재벌의 총수 일가는 지주회사 산하가 아닌 회사를 여전히 대거 갖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이런 회사들의 구조나 거래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.<br /><br />김지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주회사는 산하에 자회사와 손자회사를 둘 수 있지만 자회사 간 출자나 자회사의 지주사 지분 보유는 제한됩니다.<br /><br />출자구조가 단순해 지배구조 개선의 대안으로 인정받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27개 재벌 지주회사를 분석해보니 지주회사 산하는 아닌데, 총수 일가가 지배하는 회사가 225개에 달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, 14곳은 지주회사 지분을 갖고 있는데, 총수 2세 지분이 있는 곳은 계열사 간 거래 비중이 그렇지 않은 곳에 거의 두 배였습니다.<br /><br />계열사가 없으면 경영이 어렵다는 뜻입니다.<br /><br />조양래 회장 자녀 4명이 지분 전부를 가진 한국타이어그룹 계열사처럼 100%인 곳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지주회사 체제 내부도 문제였습니다.<br /><br />지주회사 체제 재벌의 전체 내부거래 비중이 13.68%로 일반 대기업집단 평균 10.38%보다 높았고, 부영, 반도, 코오롱, CJ, HDC, 하림 등 6개 지주사는 지주사의 주 수입인 자회사 배당이 수익 30%가 안 되고 임대료, 브랜드 이용료, 경영 자문 수수료가 70% 이상을 차지한 겁니다.<br /><br />국내선 지주사 체제인데 해외법인을 통해 순환출자 고리를 만든 곳도 있었습니다.<br /><br />현행법상 해외 소재 손자회사가 지주사 지분을 가져도 위법이 아니란 점을 이용해 손자회사 하이트진로 일본법인이 거꾸로 지주사 지분을 가진 겁니다.<br /><br /> "총수 일가가 상응하는 지배책임 없이 지주체제를 이용하여 편법적으로 지배력을 확대할 가능성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합니다."<br /><br />현행법상 지주회사 체제에 빈틈이 너무 크다는 이야기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