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본 정부가 베이징 올림픽에 정부 대표단을 결국 보내지 않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기시다 총리는 국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겠다고 밝혀왔지만 아베 전 총리 등 보수파들이 중국에 강력한 경고를 보내야 한다며 압박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도쿄 이경아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선수단은 보내지만 정부 대표단은 보내지 않겠다. <br /> <br />베이징 올림픽 외교적 보이콧이 전 세계적인 논란으로 떠오른 가운데 일본이 내놓은 결론입니다. <br /> <br />대신 하시모토 전 도쿄올림픽 조직위원장과 야마시타 일본올림픽위원회장 등 스포츠계 인사들이 참석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인권문제를 감안한 결정인지에 대해 마쓰노 관방장관은 '자유와 기본적 인권 등이 중국에서도 보장돼야 한다'는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중국을 자극하지 않으려는 듯 '외교적 보이콧'이라는 말은 피했습니다. <br /> <br />[마쓰노 히로유키 / 일본 관방장관 : 일본의 참가 방식에 대해 특정 명칭을 사용하는 것은 생각하지 않고 있습니다. 미국 정부 발표에서는 외교적 보이콧이라는 말은 쓰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미국이 중국을 겨냥해 외교적 보이콧 방침을 밝힌 것은 지난 6일. <br /> <br />그 뒤 호주와 영국 등이 주요국이 잇따라 동참을 선언했지만 기시다 총리는 신중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과의 국교정상화 50주년인 내년을 관계 개선의 기회로 생각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기시다 후미오 / 일본 총리 (지난 7일) : 국익의 관점에서 스스로 판단해 가고자 합니다. 이것이 우리나라의 기본적 자세입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아베 전 총리를 중심으로 한 자민당 내 보수파는 총리에게 미국에 발맞춰 하루빨리 동참 선언을 할 것을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 달 바이든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모색하고 있는 기시다 총리 역시 보이콧에 대한 입장 표명을 미루기 어려웠던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하토야마 전 총리는 이에 대해 '미국과 우파에 휩쓸리는 것이 국익 외교냐'며 미중 대립을 부추기는 어리석은 결정이라고 비판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외교부는 "일본 올림픽 관계자와 선수단의 참가를 환영한다"는 말로 직접적인 비난은 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중일 양국이 서로 개최하는 올림픽과 스포츠의 비정치화를 지지하기로 한 약속을 일본이 제대로 이행하기를 촉구한다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도쿄에서 YTN 이경아입니다.<br /><br />YTN 이경아 (kale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1224185730467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