강제동원 현장인 사도 광산을 세계문화유산 후보로 추천하기로 한 뒤 일본 정부가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과의 충돌뿐 아니라 군함도 전시관에 강제동원 역사를 담으라는 유네스코 권고를 의식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도쿄 이경아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강제동원 역사의 현장인 일본 니가타현 사도 광산. <br /> <br />일본 내 연구자들은 당시 이곳에 끌려간 조선인이 2천 명을 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 시민단체가 확보한 공문서에는 당시 여기서 일한 조선인 천 백여 명에 대해 23만 엔 넘는 돈이 지급되지 않았다고 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역사를 외면한 채 특정 시기만 세계문화유산에 등재 하려는 것은 스스로 가치를 떨어뜨리는 일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나카다 미츠노부 / 강제동원 진상규명 네크워크 사무국장 : 그 유산이 어떤 경위를 거쳐 지금에 이르렀는지 전체적인 역사가 기술돼야 한다는 겁니다. 자기들에게 불리한 것은 감추겠다고 하면 정말 문화적인 가치가 있겠느냐는 것이죠.] <br /> <br />NHK 보도에 따르면 지난달 비공개 심의회에서 외무성 담당자는 "한국이 이미 강한 경계심을 갖고 이 사안을 주시하고 있다"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기간을 강제동원이 이뤄지기 전으로 한정해도 '한국과의 충돌을 피해갈 수 없다'는 인식을 드러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점을 의식한 듯 담당 부서인 문화청은 후보 선정과 정부가 정식으로 추천하는 것은 다르다며 이례적인 설명을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[일본 문화청 관계자 : 세계문화유산 국내 추천 후보 선정은 추천 결정이 아니며, 이를 바탕으로 정부 내에서 종합적으로 검토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군함도 역시 등재 당시 1910년까지로 기간을 정했지만 유네스코는 강제동원을 포함한 역사 전체를 담으라고 결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강제동원 사실 자체를 부정하고 있는 군함도 전시관에 대해 지난 7월 약속을 지키라며 강력히 권고한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. <br /> <br />일본 정부는 내년 12월 군함도 전시 내용을 개선하기 위한 계획서를 내야 하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[모테기 도시미츠 / 당시 일본 외무성 장관 (7/13) : 우리나라는 세계유산위원회의 결의, 권고를 진지하게 받아들여 우리 정부가 약속한 조치를 포함해 그것을 성실히 이행해 왔습니다. 세계유산위원회에 대해 정부의 이런 입장을 바탕으로 적절히 대응해 갈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유네스코의 입장이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경아 (kale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1230012213428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