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19 속에서도 한국 미술 시장은 그 어느 때보다 뜨거웠습니다. <br /> <br />이건희 컬렉션 기증과 미술품 투자에 대한 관심이 폭발하면서 사상 처음 국내 미술 시장 거래액이 1조 원에 육박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현우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겸재 정선이 1751년에 그린 국보 인왕제색도입니다. <br /> <br />장맛비가 그친 뒤 안개가 피어오르는 인왕산의 모습이 묵직하게 펼쳐졌습니다. <br /> <br />고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 일가가 기증한 수만 점의 명작 가운데 으뜸으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이른바 '세기의 기증'으로 화제를 불러온 이건희 컬렉션과 넘치는 유동자금으로 2021년 미술 시장은 그 어느 때보다 뜨거웠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최대 아트페어인 '키아프'에선 닷새 동안 650억 원어치 미술품이 팔렸습니다. <br /> <br />집에 대한 관심과 코로나19로 억눌렸던 '보복 소비' 심리 역시 미술 시장 호황을 이끌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2021년 우리나라 미술 시장 규모는 한 해 전보다 3배 가까이 늘어 1조 원 시대를 눈앞에 뒀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기존의 갤러리와 경매, 아트페어 기반의 미술품 거래 방식에서, <br /> <br />디지털 기술이 접목된 공동투자 플랫폼이 등장하면서 젊은 층, 즉 MZ 세대의 투자도 이끌어 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디지털 기반의 미술과 가상 자산을 접목한 NFT, 여기에 가상공간인 '메타버스' 등장으로 미술 시장의 문이 더 확대됐습니다. <br /> <br />전 세계 미술품 NFT 시가총액은 전체 미술품 시가총액의 1% 수준이지만, 향후 10년간 100배 늘어날 것이란 전망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[김윤섭 / 아이프미술경영연구소 대표 : 'NFT(대체불가토큰)'라는 방식은 디지털 세대가 미술품을 소비하는 새로운 방식의 좋은 사례이기 때문에 앞으로는 지금보다 훨씬 더 크게 확장될 것이고….] <br /> <br />세계 3대 아트페어로 꼽히는 '프리즈'가 '키아프'와 서울에서 공동 개최도 앞두고 있어 미술 시장 성장세는 더욱 뚜렷해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현우입니다.<br /><br />YTN 김현우 (sele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11231222735526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