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이 대외정책을 논의하고도 공개하지 않은 것은 한반도 주변 정세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우방인 중국의 동계 올림픽 개최와 미중 갈등, 코로나19와 우리의 대통령 선거 등 여러 변수를 감안한 것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김문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초 8차 당 대회를 연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북한 주민에 보내는 연하장으로 신년사를 대신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외정책은 당 대회가 끝난 10여 일 뒤 공개했는데, 우리 측에 대해서는 3년 전 봄날을 얘기하며 관계개선의 여지를 남겼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을 향해서는 강대강 선대선 원칙을 거론하며 핵전쟁억제력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과시했지만 올해는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[조선중앙TV : 북남관계와 대외사업부문에서 견지하여야 할 원칙적 문제들과 일련의 전술적 방향들을 제시했습니다.] <br /> <br />올해 대외문제를 논의하고도 공개하지 않은 것은 한반도 주변 정세와 무관치 않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우방인 중국의 다음 달 동계올림픽 개최와 미중 간 갈등, 한국의 대통령 선거 등이 겹치면서 상황을 봐가며 대응하겠다는 뜻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종전선언에 대한 언급도 없었는데, 내용이 공개되지 않은 상황에서 미리 언급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[김용현 /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: 정세의 특별한 변화가 없는 상황에서 북측이 먼저 자신들의 패를 까는 것에 대한 부담이 있는 겁니다.] <br /> <br />지난해와 달리 핵 무력에 대한 언급은 없었지만 국가 방위력의 질적 변화를 강력히 주문한 점은 눈에 띕니다. <br /> <br />대외 변수와는 상관없이 신무기개발을 계속하며 국방력 강화를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통일부는 북한이 기존 노선을 지속하면서 국제 정세에 따라 입장을 표명할 것으로 본다며 한반도 평화를 실질적으로 진전시키기 위해 일관되게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문경입니다.<br /><br />YTN 김문경 (mkkim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0101183613042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