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바이든 또 "강경대응" 언급…'우크라 사태' 다음주 분수령

2022-01-03 0 Dailymotion

바이든 또 "강경대응" 언급…'우크라 사태' 다음주 분수령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크라이나 문제를 둘러싼 미국과 러시아 간 기 싸움이 계속되는 가운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에 대해 강경 대응 방침을 재차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다음 주에 있을 러시아와 서방 간 연쇄 협상이 우크라이나 사태의 중대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김영만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가능성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다시 한번 러시아에 강경 대응 의지를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은 현지시간 2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통화에서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영토 보전에 대한 미국의 약속을 강조하면서 이같이 말했다고 백악관 대변인이 전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30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전화 담판에서 단호한 대응을 선언한 지 사흘 만에 또다시 러시아에 경고 메시지를 날린 겁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은 당시 통화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시 가혹한 제재를 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고, 푸틴 대통령도 서방의 제재가 이뤄지면 미·러 관계가 붕괴할 수 있다고 맞받아치는 등 양국 정상이 팽팽한 기 싸움을 벌인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오바마 행정부 시절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을 지켜봤던 바이든 대통령은 당시 미국의 대응 미숙에 대한 비판을 상기하며 우크라이나 문제에 적극 개입하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친서방 성향의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도 미국을 우군으로 적극 끌어들이면서 자국 안보를 담보하려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두 정상 간 통화는 오는 10일 미·러 간 양자 전략 안정화 대화를 시작으로 12일 북대서양조약기구, 나토와 러시아, 13일 유럽안보협력기구와 러시아 간 협상을 앞두고 이뤄졌다는 점에서 주목됩니다.<br /><br />다음 주 연쇄 협상은 우크라이나 사태의 해결이냐, 파국이냐를 가를 중대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김영만입니다. (ymkim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