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일 "북한 핵·미사일 활동에 강한 우려"…안보리 회의 요구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과 일본이 북한의 극초음속 미사일 발사에 강한 우려를 표명했습니다.<br /><br />더 나아가 미국과 유럽국가들은 안보리 회의를 요구했는데요.<br /><br />조건 없는 대화를 촉구해 온 미국이 새해 첫 북한의 미사일 활동을 동맹국들과 어떻게 공동 대응해 갈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한상용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지난 5일 극초음속미사일을 발사했다는 북한에 직격탄을 날렸습니다.<br /><br /> "북한은 불법적인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으로 지속적인 위협을 하고 있다. 우리는 이번 주 최근의 발사를 통해 그것을 다시 목도했다."<br /><br />미일 간 화상으로 열린 외교·국방장관, 2+2회담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거론하며 이 같은 입장을 나타낸 겁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미국과 일본이 극초음속과 같은 새로운 위협에 대응하는 협력을 보다 쉽게 하고자 새 연구개발 협정에 서명하겠다는 계획도 소개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의 지속적인 미사일 발사가 미국과 그 동맹에도 위협이 되는 만큼 마냥 지켜볼 수만은 없다는 인식을 드러낸 것으로 해석됩니다.<br /><br />미국과 일본은 회담 직후엔 공동성명을 내고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하면서 북한에 유엔 안보리 결의를 이행하라고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또 북한의 진전된 핵과 미사일 개발 활동에 강한 우려를 표명하는 한편 한미일간 협력을 심화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미·일은 이와 함께 중국과 러시아도 겨냥해 "육상과 해상, 사이버 공간에서 국제 규범을 지속해서 위반하고 있다"고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미국과 유럽 일부 국가가 오는 10일 유엔 안보리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 문제를 논의하자고 요청했다고 외신이 전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이 관련국에 신중한 대응을 촉구하고 북한을 두둔하는 듯한 태도를 보여 어떤 결론이 도출될지는 미지수입니다.<br /><br />일각에선 북한의 도발에도 장기간 교착 상태인 북미 관계에 특별한 변화는 없을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한상용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