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일 정상 "북한 강력 규탄"…유엔 안보리 소집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바로 다음 날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전화통화를 하고 북한을 강력 규탄했습니다.<br /><br />그만큼 이번 도발을 심각하게 판단하고 있단 뜻으로 보이는데요.<br /><br />미국은 유엔 안보리 공개회의 소집도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 김동현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현지시간 4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전화통화를 하고 이번 미사일 발사가 일본 국민에게 명백한 위험이 되는 행위인 동시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이라고 규탄했습니다.<br /><br />백악관은 "두 정상이 북한의 탄도미사일 및 대량살상무기 프로그램 능력을 제한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해나가기로 했다"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 "일본 상공으로 장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한 북한의 위험하고 무모한 결정을 강력히 규탄합니다. 우리는 한국, 일본 및 국제사회와 함께 즉각적이고 장기적인 대응을 계속 조율해 나갈 것입니다."<br /><br />백악관은 이번 통화가 일본의 방위에 대한 철통같은 약속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이뤄졌다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의 도발이 있은 지 채 하루도 지나지 않아 신속하게 전화통화를 한 건 그만큼 이번 사안을 심각하게 보고 있다는 방증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한편 백악관은 한국 군이 이번 미사일을 중거리탄도미사일, IRBM으로 규정한 것과 달리 사실상 대륙간탄도미사일, ICBM을 뜻하는 '장거리 탄도미사일'이라고 표현했습니다.<br /><br />미일 국방장관도 전화통화를 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습니다.<br /><br />미 인도태평양사령부는 북한의 미사일 도발 직후 미군이 한국 공군 및 일본 항공자위대와 각각 군사훈련을 한 사실을 공개하며 양국에 대한 방위 공약을 재확인했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공개회의 소집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반대가 없다면 현지시간 5일 회의가 열릴 것으로 보이는데, 중국과 러시아의 비토로 추가 제재 결의 등 유엔 안보리 차원의 조치를 기대하긴 어려워 보입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 김동현입니다.<br /><br />#북한_미사일 #북한_도발 #유엔_안보리 #IRBM #ICBM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