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31명 사표에 내홍도…LH "처벌보다 예방" 선회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해 LH는 직원들의 부동산 투기 사태가 터진 뒤, 인적 쇄신과 사내감사 강화가 단행됐죠.<br /><br />하지만 이 과정에서 사표를 내고 나간 사람이 300명을 넘고 내부 갈등이 커지자 사측이 감사 방향을 수정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어떤 사정인지, 최지숙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신도시 지정 과정에서 불거진 직원 투기 사태 후 LH는 국세청장 출신 김현준 사장과 감사원 출신 염호열 상임감사위원이 부임해 조직 쇄신에 들어갔습니다.<br /><br />이 과정에서 내부감사가 대폭 강화됐는데, 그러다 보니 새로운 문제가 터졌습니다.<br /><br />고압적 태도와 과도한 징계 등 감사실의 '갑질'이 이뤄졌다는 논란이 벌어진 겁니다.<br /><br /> "실적 채운다고 많이 그러긴 했고, 프로세스를 몰라 실수해도 지침대로 왜 안 했냐고 다그치고. 쇄신은 좋지만 전 직원이 죄인도 아니고…"<br /><br />노조의 항의와 직원들의 불만에 결국 감사실은 지난 연말, 내부 게시판에 감사 방향 수정 방침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가 입수한 상임감사위원 명의의 글에는 과잉 감사가 발생하지 않도록 '감사활동 모니터링제'를 도입하고, 특권으로 비칠 수 있는 감사 관행을 없애겠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.<br /><br />구체적으로는 감사실 직원의 희망부서 반영제를 폐지하고 감사업무 활동비도 개선하겠다는 겁니다.<br /><br />무엇보다 감사 기조를 처벌보다 사전컨설팅과 업무절차 개선을 통한 예방에 초점을 두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조직의 심각한 사기 저하를 고려한 조치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 "사표도 많이 냈어요. 전 직원을 부정 집단으로 만들어버리니까 직원들 자괴감이…많이 나가게 됐어요. 사실."<br /><br />실제로, 사태 후 지난해 말까지 LH 퇴직자 549명 중 자발적 사표는 331명으로 약 60%에 달했습니다.<br /><br />LH는 비위자 엄중 처벌 원칙을 유지하되, 조직 사기 등을 고려한 소통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지숙입니다. (js173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