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강진원 앵커, 박상연 앵커 <br />■ 출연 : 박주근 / 리더스인덱스 대표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주제를 좀 바꿔보겠습니다. 카카오페이에서도 논란이 일고 있죠? <br /> <br />[박주근] <br />그렇습니다. 유영준 카카오페이 대표였죠. 원래 카카오대표로 지난 11월 25일날 내정됐는데 문제는 카카오페이가 지난 11월 3일날 상장을 했습니다. 상장한 지 한 달 만에 스톡옵션을 행사한 거예요. <br /> <br />스톡옵션 행사를 하면서 원래 주가가 5000이었던 것을 23만 정도에 했으니 차익이 거의 400억이 넘습니다. 문제는 대표이사가 스톡옵션을 행사하면서 주가가 최고점일 때 행사했다는 게 문제예요. <br /> <br />두 가지 안 좋은 부분이 뭐냐 하면 한 달 만에 그것도 문제가 있지만 판 시점이 코스닥 200에 진입한 시점이었어요. 이 말은 대표는 알았다는 거죠. 주가가 최고점이었다는 걸 알았는데 상장한 지 한 달 만에 스톡옵션을 행사했으니 일반 주주들에게는 굉장히 피해가 갔을 것이고요. <br /> <br />두 번째는 이번 주가를 상장할 때 공모주를 배당받은 기관투자자들이 있어요. 기관투자자들은 물량의 60% 정도를 상장 뒤 일정기간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의무약정기간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그 약정조차 지키지 않고 팔았다는 것이 굉장히 모럴해저드에 빠진 것이고 마지막으로 우리사주조합도 있습니다. 우리사주조합들은 1년간의 보호매수에 걸려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니까 일반 직원들은 1년간 팔지도 못하는 상황인데 대표이사가 마치 주가가 오를 때 빠져나온 것처럼 됐으니 모럴해저드에 빠졌다고 봐야 됩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러니까 어떻게 보면 우리 회사 좋다고 일단 주식을 상장을, 기업공개를 했지 않습니까? 우리 회사 좋다고 상장을 했고 적극적으로 자금을 끌어모은 거잖아요. <br /> <br />그런데 정작 회사를 이끌어갈 그리고 회사 내부의 정보를 가장 많이 알고 있는 대표와 임직원은 그 시점에 주식을 내다팔아서 차익 실현을 했다는 게 가장 지금 문제라는 말씀이시지 않습니까? <br /> <br />[박주근] <br />맞습니다. 일반적으로 대표이사가 되면 자기 자사주를 사들이죠. 그러면서 보통 우리는 책임경영을 하겠다는 의지로 그걸 표방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상장한 지 한 달도 되지 않는 주식을 스톡옵션을 행사하면서 자기 개인의 사익을 편취했다고 봐야 되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111121316164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