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세 시장도 변화 조짐…하락 전선 확대할까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서울 아파트값 상승 폭이 한 달 넘게 하향 흐름을 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주에는 4개 자치구에서 하락세를 보였는데요.<br /><br />전셋값도 경기권을 중심으로 하락 전환한 곳이 늘면서 부동산 시장에 미칠 여파에 이목이 쏠립니다.<br /><br />최지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이번 주에도 서울 아파트값은 근소하게나마 오름폭을 한 번 더 줄이며 둔화세를 이어갔습니다.<br /><br />지난주 강북·도봉·은평의 아파트값이 마이너스 변동률을 나타낸 데 이어, 이번 주엔 금천·노원·성북·은평 4개 자치구가 하락세를 보였습니다.<br /><br />매수심리 위축에 추가 금리인상 우려가 겹친 탓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전세 시장에도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전셋값 하락 지역은 지난주 25곳에서 이번 주 34곳으로 늘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경기 전셋값은 17개 시·구에서 하락하면서도 전체의 주간 전세 가격이 0.01%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서울 전세가 역시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빠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관망세가 커지며 매물이 쌓인 데다, 대출 규제나 계약갱신청구권 사용 등으로 재계약이 증가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 "계약갱신청구권을 세입자 분들이 써서 움직이질 않으세요. 그래서 집주인 분들이 처음 내놨던 가격보다 많이 내린 가격에서 전세가가 형성되는 상황이에요."<br /><br />하지만, 상승 요인도 여전합니다.<br /><br /> "계약갱신청구권이 만료되는 데 따라 움직일 가능성이 있고, 지방선거나 대선에 따른 개발 호재 공약이 많기 때문에 매매가가 올라가면 전세가가 따라 올라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…"<br /><br />정부는 추가 금리 인상에 따른 시장 안정을 또 한 번 기대하고 있지만, 전세대출이나 신용대출 금리가 줄줄이 오르면 서민층의 어려움만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지숙입니다. (js173@yna.co.kr)<br /><br />#아파트값 #전세 #집값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