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현대重·대우조선, 합병 무산...왜 EU가 결정하나? / YTN

2022-01-14 0 Dailymotion

유럽연합, EU 집행위원회가 한국조선해양과 대우조선해양의 기업결합을 승인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, 두 조선업체 간 합병은 무산됐는데, 어떻게 해서 이런 결정이 내려졌는지, 또 그에 따른 파장은 무엇인지, 향후 전망까지 취재 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박홍구 기자! <br /> <br />먼저 합병을 허가하지 않은 이유부터 알아볼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EU 집행위원회는 한국시각으로 어젯밤 한국조선해양과 대우조선해양의 기업결합을 불허한다고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EU는 합병 불허 이유로 두 기업의 결합이 LNG 운반선 시장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형성해 경쟁을 저해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독점의 우려가 있다는 얘기입니다. <br /> <br />최근 5년간 LNG 운반선 시장 점유율을 보면 건조량 기준으로 한국조선해양과 대우조선을 합치면 60%가 됩니다. <br /> <br />EU는 세계 3위 LNG 수입국인데, LNG 운반선 시장 독점에 따른 선박 가격 상승이 LNG 운임에 영향을 줘서 결과적으로 LNG 연료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본 것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결정에 따라 지난 2019년 3월 대우조선의 민영화 계약 체결 이후 3년 가까이 끌어오던 인수 합병은 최종 불발됐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렇다면 EU의 결정으로 국내 기업 간 합병이 무산되는 까닭은 무엇인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국내 기업 간 합병을 다른 나라가 심사하는 것 자체가 흔한 일은 아닙니다. <br /> <br />다만 조선업종의 경우는 선박 발주가 많은 EU를 비롯해 6개 나라 반독점 당국의 심사를 받게 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카자흐스탄, 싱가포르, 중국, 그리고 EU와 한국, 일본의 심사를 받는데, 이 중에서 앞선 3개 나라의 합병 심사는 통과했지만, EU의 벽을 넘지 못한 것입니다. <br /> <br />EU의 승인을 받지 못한다는 얘기는 선박 고객이 가장 많은 유럽에서 수주활동을 하지 못한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남은 한국과 일본의 승인 절차는 무의미한 상황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EU의 불승인 결정에 대해 인수 주체였던 현대 중공업그룹은 어떤 입장인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현대중공업그룹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EU의 결정은 비합리적이고 유감스럽다고 비판했습니다. <br /> <br />두 기업의 과거 시장 점유율이 높아도 조선업은 입찰 경쟁을 통해 점유율이 언제든 바뀔 수 있다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또 LNG선 시장에서는 한국의 삼성중공업과 중국, 일본 등 복수의 경쟁자가 존재하기 때문에 독과점 우려도 없다고 주장했습니다.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홍구 (hkpar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114125739149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