실종자 5명과 사망자 1명이 발생한 광주 아파트 붕괴사고 구간에서 짧게는 5일 만에 1개 층 타설 작업을 마쳤던 것으로 확인됐다. 이런 사실은 16일 중앙일보가 입수한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동 붕괴사고 아파트 ‘건물 201동 타설일지’에 나와 있다. 또 일부 층은 콘크리트 강도를 확보하기 어려운 우천 중에 타설 작업을 진행한 정황이 드러났다. <br /> <br /> 소방당국에 따르면 지난 11일 오후 3시 47분쯤 이 아파트 건물 39층 높이에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 도중 23~38층 구간이 붕괴했다. 해당 타설일지에는 사고 건물 23~38층 콘크리트 양생·타설 작업 기간이 기재돼 있다. 기간이 가장 짧은 곳은 30층으로, 지난해 10월 19~23일, 5일 만에 타설 작업을 끝냈다. 35~38층 5개 층도 짧게는 6일에서 10일 정도에 타설 작업을 마친 것으로 확인됐다. 한파 속에 콘크리트 양생 기간이 충분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. 이 부분이 건물 붕괴 원인을 규명하는 중요한 포인트가 될 것으로 보인다. 겨울철에는 양생 기간 2주가량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 의견이다. <br /> <br /> 앞서 현대산업개발은 “콘크리트의 타설·양생 기간이 충분하지 않은 등 부실시공됐다”는 의혹에 “사고가 난 201동 건물은 최소 12일부터 18일까지 충분한 타설 기간을 거쳤다”고 해명했다. <br /> <br /> 붕괴 건물에 적용된 RCS(레일 일체형·Rail Climbing System) 공법은 3개 층에 대형 거푸집을 설치하고 하층부 콘크리트가 굳으면 그대로 콘크리트를 부어나가며 층수를 올리는 방식이다. 타설일지를 보면 붕괴 구간 중 맨 아래인 23층은 19일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041089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