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이 2018년부터 중단했던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, ICBM 발사 재개를 검토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내일 오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열립니다. <br /> <br />안보리가 대북 제재나 규탄 성명을 채택할 수 있을 지 여부와 중국과 러시아가 어떤 입장을 보일 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진호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최근 탄도미사일을 연이어 발사한 북한이 미국에 대한 신뢰조치를 전면 재고하고 '잠정 중지했던 모든 활동'을 재가동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이 자발적으로 선언했던 '핵실험과 ICBM 시험발사 중단'이라는 '봉인'을 해제할 것임을 시사한 것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상황에서 미국 등의 요청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가 열립니다. <br /> <br />안보리는 '비확산/북한' 등을 의제로 비공개 회의를 한다고 홈페이지에 공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대북 공동대응을 사실상 추진하지 못했던 안보리가 이번 회의에서는 이전보다 수위를 올려 대북 규탄 성명 채택 방안 등을 논의할 지 여부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대화를 강조해왔던 바이든 행정부는 최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해 첫 제재를 발표했고 압박 수단도 적극 활용하겠다는 쪽으로 입장을 바꾸며 국제적인 공조를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안보리 대응의 핵심적인 열쇠는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거부권을 가진 중국이 쥐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도 대북 제재 문제에는 중국과 한목소리를 낼 것이라는 관측이 유력합니다. <br /> <br />중국은 북한 핵실험과 관련해 제재는 긴장을 더 격화시킬 뿐이라며 대화와 협상의 방향을 견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나타냈습니다. <br /> <br />[자오 리젠 / 중국 외교부 대변인 : 중국은 미국이 성의를 보여 실질적 조치를 내놓음으로써 북한의 합리적 관심사에 호응하기를 희망합니다.] <br /> <br />그동안 각국의 자제와 대화를 촉구해온 전통적인 대북기조에서 한 발 더 나아가 미국의 성의를 촉구한 것입니다. <br /> <br />안보리 회의 하루 전 나온 중국의 이런 입장 표명은 안보리 논의가 미국 의도대로 전개되기는 쉽지 않을 것임을 예고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진호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진호 (jh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0120222228218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