거꾸로 가는 평화시계…한반도 평화프로세스 '위기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의 핵·미사일 시험 재개 시사에 한반도가 다시 4년 전 긴장모드로 회귀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<br /><br />국제사회의 대북 비난 여론까지 높아지면서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구상은 더욱 힘을 잃어갈 수 있다는 분석인데요.<br /><br />임혜준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정부는 북한의 핵·미사일 시험 유예는 북측의 비핵화 의지와 맞닿아있다고 여겨왔습니다.<br /><br />정부가 이번 북한의 정치국 회의 결과 발표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이유입니다.<br /><br /> "북측은 한반도 비핵화 의지를 분명히 하였으며 북한에 대한 군사적 위협이 해소되고 북한의 체제안전이 보장된다면 핵을 보유할 이유가 없다는 점을 명백히 하였습니다."<br /><br />더구나 김정은 위원장이 미국과 쌓은 신뢰 구축 조치의 '전면 재고'를 직접 언급했다는 것은 더욱 우려스러운 대목입니다.<br /><br />바이든 정부 출범 1년, 진전 없는 북미 협상에 북한이 '강대강' 대결구도로 대미 외교 방향을 이미 정한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최근 북한의 일련의 동향을 긴장감을 가지고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. 추가적인 상황 악화 가능성에 면밀하게 대비하는 한편, 관련국들과 대책을 긴밀히 협의해 나갈 것입니다."<br /><br />중동을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 구축이 쉽지 않은 것은 제도화 되어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진단했습니다.<br /><br />종전선언, 평화협정의 필요성을 거듭 언급한 것으로 풀이되는데, 북한을 향한 국제사회 비난 여론에 상황은 녹록지 않아 보입니다.<br /><br />일각에선 문재인 대통령이 다음달 열리는 베이징 동계올림픽 이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화상 정상회담을 추진해 대북문제와 관련한 중국측의 협력을 요청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정상회담을 고리로 4년 전 한반도 긴장 모드로의 회귀를 막을 묘안을 마련해낼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임혜준입니다. (junelim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