美 일평균 신규 확진 72만여 명…증가세 둔화 뚜렷 <br />美 신규 확진, 지난 14일 정점 찍은 뒤 하락세 <br />뉴욕·워싱턴DC 신규 확진, 오미크론 정점의 절반 수준 <br />"美 오미크론 확산 누그러지며 전국적 확진자 감소"<br /><br /> <br />미국에서 오미크론 변이로 인한 코로나19 확산세가 눈에 띄게 개선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오미크론이 급속도로 확산해 정점을 찍은 뒤 빠르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조심스러운 낙관론을 제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조수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뉴욕타임스는 현지 시간 21일 기준 미국의 7일간 하루 평균 신규 확진자를 72만천여 명으로 집계했습니다. <br /> <br />2주 전과 비교해 11% 증가했지만, 지난 10일까지만 해도 증가율이 3배를 넘겼던 것에 비춰보면 증가세가 급격히 둔화한 겁니다. <br /> <br />지난 14일 80만여 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하락하는 중입니다. <br /> <br />오미크론 변이의 초기 확산을 이끌었던 뉴욕시나 워싱턴DC에서는 신규 확진자가 정점 때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남서부 등 일부 지역이 예외이긴 하지만, 오미크론 확산이 누그러지기 시작하면서 전국적으로는 확진자가 감소하기 시작했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전염병 전문가들은 오미크론이 초기에 출현한 남아공 상황을 보며 희망을 품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남아공에서는 오미크론이 확산하며 코로나19 확진자 수도 급증했지만 정점을 찍은 뒤 빠르게 감소하는 추세인데, 미국과 영국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존 슈워츠버그 UC버클리 공중보건대 교수는 향후 미국 상황에 대해 "단기적으로는 앞으로 4~6주가 고비가 될 것"이라며 2월 중순쯤에는 상황이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3월부터 여름까지는 지난해처럼 확진자 수가 꾸준히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슈워츠버그 교수는 높은 백신 접종률과 함께, 오미크론을 겪으며 어느 정도 집단 면역이 형성된 점을 근거로 들면서 "새로운 변이가 나오더라도 도움이 될 것"이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전문가들은 코로나바이러스가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고 독감처럼 계속 변이가 나올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 변이의 성격을 예측할 수 없는 만큼 새로운 변이에 맞는 백신 개발과 정확성 높은 진단 키트 제조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조수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조수현 (sj1029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0123120850920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