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미크론 대유행이 한창인 가운데 코로나19 감염재생산지수와 양성률이 급등하는 등 방역지표에 빨간 불이 켜졌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도 먹는 치료제를 복용한 환자들의 80%가 증상이 호전되는 등 효과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이동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 변이 영향으로 전국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무서운 가운데 각종 감염지표에도 빨간 불이 켜졌습니다. <br /> <br />확진자 1명이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를 나타내는 지수로 대표적인 확산세 척도인 감염재생산지수가 1.58까지 가파르게 올라갔습니다. <br /> <br />검사자 수 대비 확진자 수를 나타내는 검사 양성률도 하루가 다르게 폭증하는 상황입니다 <br /> <br />이 같은 지표에 따라 전문가들은 당분간 확산세는 불가피하며 그 정점은 10만 명이 넘을 것이라고 전망합니다. <br /> <br />[정재훈 /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 : 유행의 규모의 정점이 얼마인가는 모형에 따라서 많은 변화가 있습니다만 그래도 대부분 전문가는 약 10만 명 이상이 될 것이라는 예상은 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환자가 급증하면서 의료역량 대비 발생 비율도 전국적으로 80%에 근접했고 비수도권의 경우 이미 100%를 넘기며 대응역량을 초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한때 30%대 중반에 이르던 60세 이상 확진자 비율은 한 자리 수까지 내려갔지만 이제는 백신 접종률이 저조한 18세 이하 확진자 비중이 계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<br /> <br />60세 이상 고령층의 3차 접종 증가로 확진자 폭증이 중환자와 사망자 증가로 이어지지는 않고 있습니다 <br /> <br />당국은 이에 따라 전국과 수도권, 비수도권의 코로나19 위험도를 '높음'으로 유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상원 /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장 : 지금 오미크론 변이 우세화에 따라 확진자 수 증가로 입원율은 높아졌지만, 중환자와 사망자는 모두 높아지지 않아 대응 역량을 유지 중입니다.]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먹는 치료제 팍스로비드를 복용한 환자들의 80%가 증상이 호전되는 등 뚜렷한 효과를 나타냈습니다. <br /> <br />복용자 가운데 위중증이나 사망으로 진행한 경우는 없었으며 다만 복용 중에 쓴 맛을 느끼거나 설사 등의 증상을 일부 경험했습니다. <br /> <br />응답자의 96%는 복용을 추천하겠다는 의향을 밝히는 등 긍정적 반응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동우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동우 (dwl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131184541237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