역대급 IPO 뒤 개미 불만…"기관청약 거품 없애야"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역대급 기업공개 대어라던 LG에너지솔루션이 막상 상장되자 개미들 반응이 영 떨떠름합니다.<br /><br />이 회사를 만든 물적 분할이란 방식에 대한 논란도 있지만, 기관투자자들이 만드는 거품부터 막을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조성미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개인 투자자가 무려 440만 명 넘게 몰린 LG에너지솔루션의 기업공개 일반 공모주 청약.<br /><br />앞서 이뤄진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에서 1경5,203조 원이란 천문학적 주문이 쏟아진 것이 이를 부추겼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정작 상장 뒤 수익률이 기대만 못 한다는 볼멘소리가 나옵니다.<br /><br />상장 직후 시초가는 공모가의 거의 두 배였지만 여기서 9만 원 이상 하락 마감한 뒤, 하락 또는 보합세가 이어지는 탓입니다.<br /><br />기대가 컸던 탓에 실망도 큰 건데, 개인들의 기대치를 끌어올린 건 기관투자자 수요예측 때 생긴 거품이란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수요예측은 기관들이 주관 증권사에 주식 매입 희망 수량과 가격을 제시하는 것으로, 이를 통해 공모가가 결정됩니다.<br /><br />그런데 개인 공모청약과 달리, 이때 기관투자자는 증거금을 내지 않습니다.<br /><br />허수를 남발해 주가 거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실제 자본금 수십억 원 규모 투자자문사가 전체 기관투자자 배정 물량에 해당하는 7조 원을 써내는 일까지 있었습니다.<br /><br />적정가치를 찾기 위한 절차가 가격 부풀리기에 악용되고 개인은 거의 받지 못하는 일이 나타나게 되는 겁니다.<br /><br /> "사실 경쟁률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면 한 주라도 더 받기 위해 기관투자자들은 막 써낸단 말이에요. 수요가 과다하게 일어나는 거죠. 그러면, 기관이나 외국인 투자자 같은 경우 배정받은 주식을 상장하자마자 팔거든요."<br /><br />주가 거품을 유발하고 상장 직후 기관 매도를 유발하는 현행 수요예측 구조를 손봐야 하는 이유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조성미입니다.<br /><br />#LG엔솔 #수요예측 #공모주청약 #거품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