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19에 감염돼도 60살 미만으로 고위험군이 아니면 집에 머물면서 스스로 관리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기존 전화 모니터링이나 자가격리 키트도 받지 못하는데, 갑자기 증상이 나빠진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. <br /> <br />응급 상황 대처 방법을 이형원 기자가 알려드립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확진자가 급증하자, 정부는 재택치료 방식을 이원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60살 이상 고령층과 50대 기저질환자 등 고위험군은 의료기관에서 건강 상태를 관찰하지만, <br /> <br />60살 미만의 일반관리군은 스스로 상태를 살펴야 합니다. <br /> <br />기존에 지급되던 체온계와 산소포화도 측정기 등 재택치료 키트도 받을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환자 본인이 갖춰두지 않으면 기본적인 건강 상태 점검 수단도 없는 사실상 '무방비' 상태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[백순영 /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 : 젊은 층이라도 기저질환을 얼마든지 많은 사람이 가지고 있을 수 있고, 증상이 없다고 해도 산소포화도가 떨어지는 상황이라면 굉장히 위중증으로 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일단 조기 치료를 해야 하는 상황이고….] <br /> <br />정부는 재택치료자 가운데 병원 이송은 1.9%, 생활치료센터 입소는 1.1%, 응급실로 옮긴 비율은 0.4%에 그쳐 실제 응급 상황이 발생하는 일은 드물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오미크론 우세화 이후에는 응급 의뢰도 하루 1∼2건으로, 델타 유행 때의 1/10 수준에 불과하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물론 일부 증상이 악화한다면 동네 병·의원 비대면 진료나 외래진료센터를 방문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격리 중이라도 보건소에 별도 신고 없이 외래센터를 찾아 재빨리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한 겁니다. <br /> <br />밤에 응급 상황이 발생하면 재택치료 상담센터나 119에 전화하면 됩니다. <br /> <br />[이기일 /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통제관 : 서울시 같은 경우에는 서울의 강남, 강북으로 나누어서 의사가 3∼5명 정도 그리고 또 한편으로는 간호사도 15명 정도가 같이 상시대기하면서 전화를 받게 돼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한편 임신부나 미접종자, 50살 미만 기저질환자를 일반관리군이 아닌 집중관리군에 포함할 계획은 없다는 게 정부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임신부 확진자는 발열 등 증상이나 분만 기미가 있으면 별도로 관리하고, <br /> <br />미접종자가 많은 소아는 소아청소년과와 협업해 비대면으로 지켜볼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형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형원 (lhw90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208182123659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