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손영래 /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] <br />2월 9일 수요일 중대본 정례브리핑을 시작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오미크론의 영향으로 확진자는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위중증 환자나 중환자 병상 가동률 등의 지표는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60세 이상 고령층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위중증 환자 수는 오늘 기준 285명, 200명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사망자는 하루 20~30명 수준이 계속 유지에 대한 중입니다. <br /> <br />2월 9일 기준 스물한 분의 사망자가 발생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고인의 명복을 빌고 유가족분들에게도 위로의 말씀을 전합니다. <br /> <br />의료체계는 현재 안정적인 상황을 유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환자 전담치료병상은 2536개를 보유하고 있고 이 중 18.5%가 사용 중입니다. <br /> <br />현재까지는 80% 이상의 여유를 가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준중환자 병상과 감염병 전담병원의 가동률도 각각 48.7%, 46.1%로 절반 이상의 여유가 있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오미크론 유행에 따라 오미크론의 특성에 맞는 대응체계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러한 전환은 역학조사와 격리, 진단검사와 치료체계 등 방역과 의료대응의 모든 분야에서 차근차근 전개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오미크론은 전파 속도가 델타에 비해 2~3배 정도 높지만 굉장히 빠른 확산 속도를 보이는 반면에 중증화율과 치명률은 델타에 비해 3분의 1 정도로 낮는 특성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오미크론 확진자 2만 2703명을 델타 확진자 2만 8004명과 연령을 표준화하여 비교한 결과 치명률은 델타 0.7%, 오미크론 0.21%로 분석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델타에 비해 3분의 1 이하의 치명률이면서 계절독감의 2배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연령과 접종력에 따른 치명률 편차도 큽니다. <br /> <br />60세 이상에서 사망의 90% 이상이 발생하고 있고 50대 이하의 대다수는 경증 또는 무증상입니다. <br /> <br />미접종자는 12세 이상의 6%를 점유하고 있지만 지난 8주간 사망의 64.5%를 차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파 속도는 높지만 치명률은 낮은 특성, 그리고 사망 피해가 60세 이상과 미접종자에 집중되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 대응 체계의 목표도 달라지게 됩니다. <br /> <br />모든 확진자를 다 조기에 찾고 추적하고, 전파를 완벽하게 차단하고, 의료적 치료를 제공하는 기존의 체계는 자원의 한계상 현실적으로 작동하기 어렵고 사회경제적 비용도 지나치게 소모됩니다. <br /> <br />또한 의학적인 필요성도 이전보다 많이 떨어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replay/view.php?idx=21&key=20220209110443075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