머크사 먹는 치료제 승인은 여전히 물음표…"효과성 걸림돌"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오미크론 유행으로 확진자가 연일 급증하고 있지만 화이자의 팍스로비드 외에 정부가 계약한 머크사의 먹는 치료제는 승인 소식이 들리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대체재로 일부 활용될 가능성은 있지만 지금으로선 승인이 어려울 것이란 전망도 제기됩니다.<br /><br />김민혜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현재 정부가 머크사와 계약한 먹는 코로나 치료제 몰누피라비르, 제품명 라게브리오 분량은 24만 2천명분.<br /><br />질병관리청이 식품의약품안전처에 긴급 사용승인을 요청한 게 지난해 11월인데, 석 달이 다 되도록 여전히 심사 중입니다.<br /><br />식약처 관계자는, 안전성, 효과성 검토가 진행 중이며, 현재도 머크 측으로부터 추가 자료 등을 요청해 받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승인의 가장 큰 걸림돌은 효과성입니다.<br /><br />한참 델타 변이가 유행할 때 추가 임상을 진행한 결과, 입원 위험을 낮추는 효과가 당초 50%에서 30%로 낮아졌는데,<br /><br />지금까지의 검토로는 변이에 대한 효과가 명확하다는 결론이 나지 않은 겁니다.<br /><br />이미 들어온 팍스로비드에 지난달 투약범위가 추가된 주사약 렘데시비르도 있어 상황이 긴박하지 않다는 점 역시 또다른 배경입니다.<br /><br />머크의 치료제가 팍스로비드 투약을 할 수 없는 중증 간·신장 장애 환자 등에겐 대안이 될 수 있지만 부작용 우려도 투약이 저조한 한 원인임을 감안하면 긴급승인이 나도 효용성은 낮을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.<br /><br /> "(오미크론) 증상이 약한 데다가, 효과가 30% 정도밖에 안되고 (유전자) 돌연변이 위험도 있고…때문에 의사로서 처방하기가 저로서도 그렇게 용이하지가 않을 것 같아요."<br /><br />한편 보건당국은 머크의 치료제는 식약처의 긴급 승인을 조건으로 계약을 맺은 만큼, 계약을 취소해도 국가적 부담은 없다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. (makereal@yna.co.kr)<br /><br />#머크사 #몰누피라비르 #식약처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