동해에서 사라진 '국민 생선' 명태를 되살리기 위해 인공 방류 사업이 시작된 지 8년째입니다. <br /> <br />그동안 양식 기술 확보 등의 성과가 있었지만, 사업의 실효성을 둘러싼 논란은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송세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대형 수조마다 몸길이 30∼60cm 크기의 어미 명태가 수십 마리씩 떼 지어 다닙니다. <br /> <br />인공 부화한 1세대와 2세대 명태로 길게는 7년째 살아 있습니다. <br /> <br />5∼6개월 전 이들 어미가 낳은 알에서 부화한 명태 치어도 30만 마리에 이릅니다. <br /> <br />남획과 수온 상승 등으로 2000년대 들어 동해에서 자취를 감춘 명태를 되살리기 위해 방류할 치어를 키우는 겁니다. <br /> <br />양식 기술로 3세대 생산에도 성공했고 이제는 산란 시기까지 조절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배기민 / 한해성수산자원센터 연구사 : 인공 생산한 어미를 이용해서 재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해 현재까지 안정적으로 종자 생산, 방류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습니다.] <br /> <br />해양수산부와 강원도가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인공 부화로 방류한 명태 치어는 160만 마리가 넘습니다. 올해도 20만 마리 넘게 방류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방류한 명태 가운데 다시 잡힌 명태는 지금까지 17마리에 불과합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인공 방류로 국내 명태 자원량을 늘리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주장합니다. <br /> <br />지구온난화에 따른 수온 상승으로 한류성인 명태 서식지 자체가 북상한 데다 명태 회유 범위가 워낙 넓어 방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정석근 / 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교수 : (명태 서식지가) 베링해까지 올라갔다가 북극 쪽으로 또 올라가고 있어요. 기후 변화라는 큰 흐름인데, 인간의 힘으로 막을 수 있어요? 방류 효과는 아무리 조건이 좋아도 한강에 잉크 몇 방울 떨어뜨리는 효과밖에 없어요.] <br /> <br />사업 실효성 논란 속에 해양수산부는 방류한 명태의 회귀 경로와 서식지 등을 조사해 그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방류량을 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YTN 송세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송세혁 (shsong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20213022344836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