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크라이나 긴장 고조…유가·현지진출 기업 비상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임박했다는 관측에 정부와 산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실제 전쟁까지 나지 않더라도 대립이 격화하면 당장 석유 등 에너지 가격 급등은 물론, 기업들의 활동까지 전방위 타격이 불가피합니다.<br /><br />김종력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임박설에 정부와 기업들이 가장 우려하는 것은 원유와 천연가스 가격 급등입니다.<br /><br />원자재가 급등에 이미 두 달째 적자가 난 무역수지의 추가 악화 가능성은 물론, 항공, 석유화학산업의 수익성 악화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중동산 두바이유는 한 달 전보다 배럴당 10달러 넘게 뛰며 지난 11일 이미 배럴당 90달러 선을 넘었습니다. 8년 만에 가장 높은 겁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최근 수급관리회의를 잇따라 열고 국제유가와 공급 상황을 점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의 침공이 현실화하면 수급 악화로 국제유가가 배럴당 120달러를 넘을 것이란 전망까지 나오고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우선 미국의 제재로 세계 3위 산유국 러시아의 원유 수출이 줄 가능성이 높습니다.<br /><br />여기에 러시아가 유럽에 가스 공급을 중단하고, 유럽이 발전 연료를 원유로 대체하면 수급은 더 악화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 "가뜩이나 불안한 공급 심리를 더욱 더 불안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. 120~150달러까지 간다고 볼 수도 있는 상황인데요."<br /><br />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밀, 옥수수 등 세계 곡물시장의 비중이 상당해 국제 곡물가격 인상도 불가피한데, 이는 곧 식음료 제품값 인상 압박으로 이어지며 이미 급등 중인 물가를 더 자극할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우크라이나 현지 진출 기업들은 영업 중단 등 직접적 피해를 받을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삼성, LG전자, 현대코퍼레이션 등은 우크라이나에 체류 중이던 주재원을 귀국 조치하거나 인접국으로 긴급 이동시켰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종력입니다.<br /><br />#우크라이나 #러시아 #침공 #국제유가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