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병원성 AI·돼지열병까지 번져…가축 전염병 비상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전염병은 사람의 일만이 아닌데요.<br /><br />오미크론 변이도 대유행 중인데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나 아프리카돼지열병 같은 가축 전염병까지 번져 축산농가의 어려움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.<br /><br />방역당국은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지만 쉽사리 끝날 것 같지 않습니다.<br /><br />한지이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해 11월 충북 음성의 메추리 농장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, AI가 처음 발생한 이후 현재까지 확진된 농장은 모두 43곳으로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말부터 겨울 철새가 본격 북상을 시작하면서 철새 도래지 하천 주변의 농장을 중심으로 확진 사례가 잇따르고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그 영향은 물가에도 나타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의 살처분 방역 지침이 확진 농장 반경 3km에서 500m로 줄면서 계란값이 평년보다 3.6% 높지만 한 판에 1만원까지 치솟았던 지난해보다는 19% 낮은 게 그나마 다행입니다.<br /><br /> "살처분 반경을 500m로 하니까 많이 살처분을 안 하잖아요…40군데 정도 (확진) 됐지만 대체로 토종닭 같은 경우, 오리 같은 경우가 많이 된 것이지 산란계는 많이 안됐어요."<br /><br />방역당국은 전국 가금 농장 집중 소독 기간을 20일까지 일주일 연장했습니다.<br /><br />AI뿐 아니라 경기 북부와 강원 등 접경지역에서 나오던 아프리카 돼지열병도 태백산맥을 타고 최근 경북 상주까지 확산해 정부가 울타리 설치 등 방역 강화를 주문했습니다.<br /><br /> "AI에 대비하여 산란계 밀집지역, 취약시설, 철새 도래지의 철저히 방역관리를 더 강화해 주시고 ASF에 대비해서는 농장의 방역시설을 신속히 보강해 주시기 바랍니다."<br /><br />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가축전염병까지 기승을 부리면서 해마다 방역에 매달리고 있는 농민들의 부담감도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한지이입니다. (hanji@yna.co.kr)<br /><br />#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 #아프리카돼지열병 #가축전염병 #비상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