집값·매매심리·공급전망 다 위축…재건축만 '활활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작된 부동산 시장의 하향 흐름이 올해도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매매 심리 위축에 집값 오름폭이 떨어지고, 분양 전망 역시 밝지 않은데요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재건축·재개발 아파트는 열기가 여전합니다.<br /><br />최지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 달 전국 집값 상승폭은 전월보다 더 떨어진 0.10%. 특히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의 낙폭이 두드러집니다.<br /><br />수도권 집값 상승폭은 0.06%로 지난해 12월 대비 약 5분의 1로 줄었습니다. 서울만 놓고 보면 6분의 1 수준입니다.<br /><br />특히 공황 매수가 몰렸던 서울 노원구는 매매가와 전세가가 각각 0.08%, 0.12%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눈치보기 장세 장기화의 결과인데, 실제 매매 심리도 얼어붙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부동산 시장 소비자심리지수가 5개월 연속 위축돼 지난 달엔 전월보다 3.6포인트 떨어진 105.8을 나타낸 겁니다.<br /><br />이 지수는 95~115 미만이면 보합세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여기에 더해 공급 전망도 어두워졌습니다.<br /><br />공급자 입장에서 분양 전망을 진단하는 분양경기실사지수는 이번 달 한 차례 더 떨어져 전망치가 71.5에 그쳤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주택시장의 불씨가 완전히 사그라든 건 아닙니다.<br /><br />똘똘한 한 채 수요와 더불어, 재건축·재개발 시장은 여전히 불장이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민영 아파트 기준 지난해 재개발·재건축 청약 경쟁률은 22 대 1. 전체 경쟁률 평균인 19 대 1보다 높습니다.<br /><br />주거 환경이나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, 희소성 등이 원인으로 꼽힙니다.<br /><br />올해 전국적으로 재건축·재개발 민영 아파트 15만 4,000여 가구가 분양을 앞둔 가운데, 서울에선 일정이 지연됐던 대단지 공급이 예정돼 있어 열기가 이어질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지숙입니다. (js173@yna.co.kr)<br /><br />#집값 #부동산 #재건축 재개발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