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이든 친서?…정부 제안 '대북관여' 방안 주목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 일요일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한미 외교장관은 북한을 다시 대화의장으로 끌어오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습니다.<br /><br />이 자리에서 우리 정부는 대북관여를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놓았다고 설명해, 그 내용에 관심이 쏠리는데요.<br /><br />임혜준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정부는 최근 열린 한미 외교장관회담에서 미국 측에 새로운 대북 관여 방안을 제시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우리 측에서 몇가지 안을 제시했고, 이에 미국 측이 상당히 경청했다는 게 정부의 설명입니다.<br /><br />다만 '새로운 대북 관여 방안'이 어떤 것인지, 그 내용에 대해서는 함구했습니다.<br /><br /> "북한과의 대화를 재개할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해 논의하였으나, 현 단계에서 아직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기 어려운 점을…"<br /><br />유력하게 거론되는 것은 인도적 지원입니다.<br /><br />코로나 팬데믹 장기화에 백신과 치료제는 북한이 여전히 솔깃할 제안이라는 평가입니다.<br /><br />일각에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직접 서한 교환에 나서는 것을 제안했을 가능성도 거론됩니다<br /><br />대화의 장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이전과는 다른, 보다 확실하고 무게감있는 메시지 전달이 필요할 수 있다는 분석에서 입니다.<br /><br /> "실패된 대북정책으로 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잠재워야 하는 카드가 필요한 것은 분명하거든요. 친서라는 수단이 제대로 작동을 하기 위해서 어떤 내용이 담겨야 하는가, 그게 더 중요하겠죠."<br /><br />한편 종전선언과 관련해 정부 관계자는 지난해 9월 종전선언을 처음 제안했을 때와는 시점상 "변화가 있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9월과는 상황이 달라졌다는 의미인데 종전선언 구상에 북한이 무응답으로 일관해온 만큼, 추진에 실효성이 떨어졌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임혜준입니다. (junelim@yna.co.kr)<br /><br />#북한 #미국 #조바이든_대통령 #김정은_국무위원장 #친서 #종전선언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