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이 이란과의 핵합의 복원 협상에 상당한 진전이 있다며 며칠 내 타결이 가능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합의문 초안에는 이란의 한국 내 동결자금 해제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김진호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은 현지시각 17일 이란과의 핵합의 복원 협상에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AFP 통신은 미 국무부 대변인이 이란이 진지함을 보이면 며칠 내 타결이 가능할 수 있다고 밝혔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대변인은 AFP통신에 "우리는 이란 핵합의 완전한 이행으로의 상호적 복귀에 대한 합의에 도달할 수 있고, 그래야 한다"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이란도 핵합의 복원 협상이 타결에 근접했다는 입장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[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 / 이란 최고지도자 : 그들은 우리가 핵무기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핵에너지의 평화적 이용을 추구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르드리앙 프랑스 외교장관 역시 "합의가 가능할 정도로 유의미한 의견 수렴이 있었다"면서 몇 주가 아닌 며칠이 남은 상황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로이터통신에 따르면 20쪽이 넘는 이란 핵합의 복원 협상 합의문 초안엔 5%를 넘는 이란의 우라늄 농축 중단이 포함됐고, 한국에 묶인 원유수출 대금 70억 달러 동결 해제 등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란 핵합의는 2015년 오바마 행정부에서 타결됐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이 미국이 너무 많이 양보했다며 2018년 탈퇴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은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지난해 4월부터 오스트리아 빈에서 이란 핵합의 복원 협상을 진행해왔습니다. <br /> <br />이란 핵합의는 2015년 이란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인 미국·영국·프랑스·러시아·중국에 독일을 더해 6개국과 맺은 것입니다. <br /> <br />우라늄 농축을 비롯한 이란의 핵활동 축소와 대이란 제재 해제가 주요 내용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진호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진호 (jh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0218185627597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