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코스피 움직임이 마치 롤러코스터를 타듯 출렁이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우크라이나를 둘러싼 긴장이 여전한 가운데 다른 변수들도 있어서 변동성이 더 커질 거란 우려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강희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달 말 '검은 목요일'을 맞았던 국내 주식 시장. <br /> <br />코스피가 하루 만에 3% 넘게 폭락하며 14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코스피는 이후 조금씩 오르는 듯했지만 급락과 소폭 반등을 반복하는 등 크게 출렁이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증시를 가장 짓누르는 변수는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전쟁 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갈등 국면이 언제 끝날지 모르는 불확실성이 이어지면서 증시 변동성을 부추기는 겁니다. <br /> <br />우크라이나 사태를 둘러싼 긴장이 꺾이더라도 미국 긴축은 큰 장애물입니다. <br /> <br />예상을 넘는 물가 상승세에 미국이 금리 인상 등 '돈줄 죄기' 속도를 높일 가능성이 큽니다. <br /> <br />[김영환 / NH투자증권 연구원 : 우크라이나 문제가 유가를 자극하면 그 유가는 미국 물가를 다시 자극하게 되고 자극된 미국 물가 때문에 연준은 긴축에 대한 더 강한 얘기를 할 수밖에 없거든요.] <br /> <br />결국, 다음 달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, FOMC 정례회의까지는 불확실성이 이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이미 많이 떨어진 코스피가 불안 심리와 맞물려 2,500선까지 하락할 거란 전망도 적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[김영익 / 서강대 경제대학원 교수 : 그동안 주가 상승을 초래했던 게 저금리고 경기 회복이었거든요. 그런데 두 가지가 다 나빠지고 있습니다. 주가가 앞으로 더 추가적으로 하락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다만, 이런 하락장이 코로나19 초기와 달라 섣불리 반등을 기대하는 건 조심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재선 / 하나금융투자 연구원 : 그때(코로나19 초기)와 같이 주가가 다 같이 상승을 하는 게 아니고 이익이 개선되는 업종별로 선별적으로 접근하는 전략이 유효한 구간이라고….] <br /> <br />또 대선일이 다가올수록 테마주가 요동치면서 증시 변동성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점도 주의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금융당국은 만일의 경우에 대비해 모니터링 단계를 '주의'로 상향 조정하고 변동성 확대 등 상황 변화에 따라 대응한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YTN 강희경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강희경 (kangh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219050305958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