러시아의 침공 위협에 직면한 우크라이나가 이달 들어 두 번째 사이버 공격을 당한 가운데 전국에 비상사태가 선포됐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과 유럽 등 서방은 러시아에 대한 제재를 이어가며 압박을 강화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'오늘 아침 세계는' 조수현 기자와 함께합니다. 어서 오세요. <br /> <br />현재 우크라이나 동부 상황이 어떤지 궁금한데 새로 들어온 속보 정리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사실 이곳에 대한 접근성의 한계 때문에 시시각각 어떤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지 파악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는데요. <br /> <br />돈바스 지역의 친러시아 분리독립 지역을 이끄는 지도자들이 푸틴 대통령에게 우크라이나군의 침입을 격퇴하는 것을 지원해달라는 요청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이 기자회견에서 공개한 내용인데요. <br /> <br />민간인 희생과 인도적 재난을 막기 위해 두 공화국 수장들이 푸틴 대통령에게 우호협력과 상호원조 조약에 따라 서면으로 이런 요청을 해왔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하루 전 푸틴 대통령은 이들의 요청이 있을 경우 군사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말한 만큼, 러시아의 향후 움직임이 주목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밤사이 미 국무부 브리핑에서는 러시아의 전면적인 침공 가능성이 여전히 임박한 상황이라는 언급이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네드 프라이스 국무부 대변인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물러날 어떤 징후도 보지 못하고 있다며 이같이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 국방부 당국자는 우크라이나 접경지대에 배치된 러시아군의 80%가 진격 태세를 갖춘 상태라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우크라이나 여러 정부 기관과 은행들이 디도스 공격을 받았다는 소식도 들어왔는데, 공격의 배후는 확인됐는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아직 배후는 드러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미하일로 페도로프 우크라이나 부총리는 현지 시각 23일 오후 4시부터 대규모 디도스 공격이 시작됐다고 밝혔는데요. <br /> <br />의회와 내각, 외무부 등의 국가기관과 은행 웹사이트 접근에 문제가 나타났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서방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에 앞서 혼란을 조장하기 위해 주요 기관들을 상대로 사이버 공격을 벌일 가능성을 경고해왔습니다. <br /> <br />우크라이나 사이버보안센터는 지난 15일에도 국방부 웹사이트와 은행 2곳이 사이버 공격을 받았다며 러시아를 배후로 지목했지만, 러시아는 이를 부인하고 있습니다.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조수현 (sj1029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0224090135152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