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, 푸틴 직접 제재…"키예프 함락 가능성 높아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백악관이 유럽 동맹국들과 함께, 오늘 중으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 대한 제재를 추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우크라이나 현지 상황에 대해선, 예상보다 우크라군의 저항이 강하지만, 수도 키예프는 함락될 가능성이 높다고 봤는데요.<br /><br />워싱턴 연결해 자세한 내용 들어보겠습니다. 이경희 특파원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백악관은 조금 전 브리핑에서 러시아에 대한 추가 제재를 예고했습니다.<br /><br />젠 사키 대변인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 장관에 대한 직접 제재를 오늘 중으로 할 것"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앞서 유럽 연합이 이들에 대한 직접 제재 방침을 확정하자 이에 보조를 맞추는 것입니다.<br /><br />사키 대변인은 우크라이나 현지 상황에 대해선 수도 키예프 함락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CNN도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은 러시아의 침공이 현실화하면 키예프가 나흘 내에 점령될 수 있다고 예상했고 이 초기 평가는 현재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미 고위 국방 당국자는 "러시아가 예상한 것보다 우크라이나의 저항은 더 크다"고 평가했는데요.<br /><br />"우크라이나군의 지휘 및 통제가 온전히 이뤄지고 있고 그렇기 때문에 러시아가 애초 스스로 예상한 것만큼 빠르게 수도 키예프로 진격하지는 못하고 있다"는 것입니다.<br /><br />또 러시아가 아직 영공 통제권을 확보하지 못했다면서 "전반적으로 러시아는 약간의 탄력을 잃었다"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이 당국자는 앞으로 며칠 내에 변화가 생길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가 아직 접경지역에 배치한 군대의 3분의 1만 투입한 상태고 남부 해안으로도 병력을 투입해 수륙양측 공격에 나서는 징후가 있다는 설명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런 가운데,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이틀째 교전을 이어가는 상황인데요.<br /><br />협상을 위한 접촉 타진은 있지만, 쉽지 않아보인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러시아 크렘린궁 대변인은 "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자국의 중립국 지위를 논의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"면서 "우크라이나 측에 협상에 동의한다고 전하고 대표단까지 꾸렸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우크라이나가 벨라루스 민스크에서 폴란드 바르샤바로 협상 장소를 바꾸자고 제안한 뒤 연락을 끊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협상이 시작된다면 관건이 될 중립국 지위의 조건에 대해서도 분명히 설명했는데요. 탈군사화와 탈나치화를 꼽았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가 그간 젤렌스키 정권을 극단적 민족주의를 신봉하는 신나치주의자들의 정권이라고 비판해 온 점으로 미뤄, 탈군사화는 우크라이나의 국방력을 무력화를, 탈나치화는 현 우크라이나 정권을 몰아내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.<br /><br />이와 관련해 독일 주재 우크라이나 대사는 "우크라이나는 푸틴과 대화할 준비가 돼 있지만 항복에 대한 대화는 있을 수 없다"고 못 박아서 협상이 쉽지 않을 것임을 예고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