러 침공 사흘째 키예프 절체절명…우크라, 방어 총력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 점령을 노리는 러시아군의 공세가 더욱 거세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곳곳에서 폭발음과 총성이 들리고 있다고 하는데요.<br /><br />국제 담당 기자 연결해,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한상용 기자, 러시아군의 키예프 함락이 임박한 건가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러시아의 침공 3일째인 26일 새벽 키예프 곳곳에서 총성과 포성이 끊이지 않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세계 주요 외신은 키예프 남부와 서부에서 폭발음과 함께 총성이 들리고 섬광도 목격됐다고 일제히 전했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군이 키예프의 발전시설 장악을 시도했다는 보도도 나왔고, 우크라이나군은 키예프에 있는 육군 기지 공격을 받았지만 이를 격퇴했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CNN은 키예프 남쪽 29㎞ 바실키프에서 격렬한 교전이 있었다고 우크라이나군을 인용 보도하기도 했는데요.<br /><br />우크라이나 대통령은 결사 항전의 뜻을 전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화상으로 진행한 특별 연설에서 "적이 우리 저항을 무너뜨리려고 모든 병력을 총동원할 것"이라고 전하면서 국민을 향해 "어디서든 적을 막아 달라"고 호소했습니다.<br /><br />우크라이나는 국가총동원령을 내려 민간인과 기간시설을 전시체제로 전환해 러시아의 점령 시도에 저항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젤렌스키 대통령은 또 "우크라이나 국경을 넘은 러시아군인 수백명이 사살됐다"면서 "우리 역시 병력을 잃었다"고 전황을 전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정전 협상 얘기도 오가고 있다고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측 모두 협상 의지는 내비치고 있지만 실제 협상 개최에 대한 합의 소식은 아직 들어오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평화와 정전 협상을 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우크라이나측이 회담을 거부했다는 일각의 주장을 반박했습니다.<br /><br />또한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협상 제안도 받아들인다며 현재 회담 시간과 장소를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러시아 대통령실인 크렘린궁은 협상을 위해 벨라루스 민스크에 고위 대표단을 보낼 의향이 있다고 밝힌 바 있는데요.<br /><br />크렘린궁은 우크라이나 측이 민스크에서 협상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했다가 뒤이어 회담장을 폴란드 바르샤바로 하자고 역제안한 뒤 연락을 끊었다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은 러시아의 회담 제의와 관련해 총구를 겨누고 외교를 하려는 건 진정한 외교가 아니라고 비판하면서 러시아가 폭격을 중단하고 군대를 철수함으로써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유엔 안보리 긴급회의가 소집됐는데, 러시아의 철군을 요구하는 결의안이 무산됐다면서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예상했던 대로 유엔 안보리에서 결의안 채택은 무산됐습니다.<br /><br />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비토권, 즉 거부권을 행사했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미국이 주도한 결의안은 러시아를 향한 규탄과 함께 우크라이나에서 즉각적인 철군을 요구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의 당사국이자 비토권을 지닌 상임이사국이기 때문에 결의안 채택 가능성은 애초부터 없었던 게 사실입니다.<br /><br />이런 상황에서 우크라이나는 유엔 인권이사회에 러시아 침공 이후 자국 내 인도주의적 상황에 대해서도 긴급회의를 요청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마저도 러시아의 영향력으로 긴급회의가 열린다 해도 당장 어떤 결론을 도출해내기가 쉽지 않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글로컬뉴스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