푸틴, 저항·제재·규탄에 혼쭐…'아프간 수렁' 악몽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사실상 우크라이나 전복에 나선 러시아가 연일 공격은 하고 있지만 국방력에 비해 고전을 면치 못하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예상 밖의 장애물에 직면했습니다.<br /><br />오만에 따른 전략적 실수라면 아프가니스탄의 악몽을 되풀이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이재동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를 전방위로 침공한 지 일주일째.<br /><br />서방 언론은 러시아가 예상보다 거센 우크라이나의 저항 탓에 전선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전했습니다<br /><br />러시아군이 접경지역에 배치했던 15만 명의 병력 중 80%를 우크라이나로 침투시켰지만 진격이 예상보다 매우 느리다는 게 서방의 분석입니다.<br /><br />실제 러시아군이 주도 주요 도시를 장악했다는 소식은 없습니다.<br /><br />우크라이나군의 필사적인 저지와 보급로 차단, 민간인들의 자발적인 참전 행렬이 압도적 전력을 앞세운 러시아군의 진격 속도를 느리게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국 매체들은 전쟁의 명분에 동감하지 못한 러시아군 사이에서 사기 저하 양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일부 병사들은 전투도 하지 않은 채 항복한다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경제 제재도 푸틴 대통령에겐 치명타가 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침공 후 가해질 서방의 제재를 각오했지만 그 수위는 예상 밖으로 강했고, 중립국까지 동참할 정도로 단합된 모습에 놀랐을 것이란 관측입니다.<br /><br />무엇보다 세계 각처에서 일어나고 있는 러시아 규탄 여론은 푸틴 대통령의 입지를 좁게 만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자칫 반정부 시위로 확산할 가능성이 있는 러시아 내부 전쟁 반대 시위도 부담입니다.<br /><br />일각에선 전략 차질에 직면한 러시아가 더욱 강력한 화력과 파괴적인 무기 시스템에 의지할 것이란 우려를 제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러시아군은 설정된 목표를 달성할 때까지 (우크라이나에서의) 특별 군사작전을 계속 수행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과거 소련이 아프가니스탄 침공으로 '전쟁의 수렁'에 빠졌던 것처럼 우크라이나에서 유사한 곤경에 처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<br /><br />#푸틴 #우크라이나_러시아 #저항_제재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