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엔, 압도적 침략 규탄…러-우크라 곧 2차 협상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현지시간 3일 오전 2차 회담을 한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전쟁 시작 일주일째로 접어드는 가운데 이번엔 상황에 변화를 가져올 만한 성과를 끌어낼 수 있을지 주목되는데요.<br /><br />워싱턴 연결해서 관련 소식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이경희 특파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당초 2차 회담은 폴란드와 벨라루스 국경에서 현지시간 2일 밤 열릴 예정이었으나, 우크라이나 대표단의 회담장 도착이 늦어지면서 3일로 연기됐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28일 첫 회담 때도 우크라이나 대표단은 러시아 측의 공격을 우려해 바로 벨라루스로 향하지 않고 폴란드를 거쳐 회담장으로 이동해 당초 예정일을 넘겨 도착한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 대표단은 이미 협상장 인근에 도착해 우크라이나 대표단을 기다리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러시아 측은 대표단 구성이 1차 회담과 같고 휴전과 안전 대피 통로 문제가 논의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2차 회담 장소는 폴란드와 접경한 벨라루스 서남부 브레스트주의 '벨라베슈 숲'으로 이곳은 옛 소련 지도부의 별장이 있던 곳입니다.<br /><br />1991년 12월 당시 러시아, 우크라이나, 벨라루스 공화국까지 3개 소련 구성 공화국 정상이 모여 소련을 해체하고 '독립국가 연합'을 창설하는 협정을 맺은 곳이어서 눈길을 끕니다.<br /><br />1차 회담 당시 양측은 일부 합의가 가능한 의제를 확인하고 다음 회담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논의하기로 했는데요.<br /><br />여전히 입장은 같은 것으로 전해집니다.<br /><br />우크라이나는 즉각적인 적대행위 중지와 돈바스·크림반도를 포함한 자국 영토에서 러시아군의 철군을 요구하고 있고 러시아는 돈바스 지역 독립 인정과 우크라이나의 나토 비가입 명문화를 요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크라이나의 결사항전에 러시아군이 고전하면서 러시아군 사상자가 더 많다는 추정이 나오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그러자 러시아 국방부가 자국 사상자 규모를 처음으로 공개했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러시아 국방부는 우크라이나 내 군사작전에서 러시아 군인이 500명 가까이 숨졌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가 공개적으로 자국 사상자 규모를 공개한 건 처음인데요.<br /><br />지금까지 498명이 임무 수행 중 숨졌고 1천600명 가까이가 다쳤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또 우크라이나군의 사망자는 2천870명이고, 부상자는 약 3천700명, 포로는 572명이라고 주장했는데요.<br /><br />러시아군이 자국 사상자 수를 언급한 건 현재의 추정이 부풀려졌다는 주장을 하기 위해선데요.<br /><br />러시아군은 "서방 언론과 일부 러시아 언론이 의도적으로 정보를 왜곡하고 있다"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반면 우크라이나 대통령실은 "지금까지 러시아 군인 7천 명 이상이 숨졌다"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세계 각국은 일제히 제재에 나서며 러시아에 대한 압박 강도를 계속 높이고 있죠.<br /><br />유엔에서 열린 긴급총회에서는 한국을 비롯해 141개국의 압도적 지지로 규탄안이 채택됐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고 즉각 철군을 요구하는 내용의 결의안이 유엔총회에서 압도적인 지지로 채택됐습니다.<br /><br />이번 결의안과 같은 중요 안건은 193개 회원국 중 표결 참가국 3분의 2 이상이 찬성해야 채택되는데 이번엔 찬성 141표, 반대 5표, 기권 35표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법적 구속력은 없지만, 전체 회원국이 참여하는 유엔총회 표결에서 큰 표차로 가결함으로써 러시아를 고립시키고 압박을 고조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평가입니다.<br /><br />대러시아 제재에 동참 중인 우리나라도 찬성표를 던졌는데요.<br /><br />반면 북한은 예고한 대로 반대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 외에 벨라루스, 에리트리아, 러시아, 시리아가 반대표를 던졌고 러시아와 가까운 중국, 인도, 이란은 기권했습니다.<br /><br />서방의 제재는 오늘도 이어졌는데요.<br /><br />미국은 러시아군 지원을 위한 핵심 수입원인 러시아 정유사에 대한 수출 통제를 발표하고 러시아의 22개 국방 관련 기관을 제재 대상에 추가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#유엔 #러시아 #우크라이나 #2차협상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