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삼성·현대차 안도…"휴대폰·자동차 러 수출통제 예외"

2022-03-03 0 Dailymotion

삼성·현대차 안도…"휴대폰·자동차 러 수출통제 예외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리나라가 미국의 대러시아 수출통제 조치인 FDPR, '해외직접제품규칙' 적용 예외국에서 빠지면서 산업계의 우려가 컸죠.<br /><br />다행히 우리의 러시아 주력 수출 품목인 휴대전화, 자동차, 세탁기와 같은 소비재는 FDPR 적용 예외에 해당하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<br /><br />김종력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휴대전화와 자동차, 세탁기 등 소비재는 미국의 대러시아 수출통제조치인 FDPR, '해외직접제품규칙' 적용 대상에서 예외되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<br /><br />산업통상자원부가 미 상무부로부터 이들 품목의 경우, FDPR 적용대상이라고 해도 일반 소비자 대상 소비재인 만큼, 예외에 해당하는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는 답변을 받은 겁니다.<br /><br />미국이 지난달 24일 대러시아 수출통제 조치로 내놓은 FDPR은 반도체, 정보통신 등 7개 분야 57개 품목의 경우 외국기업 제품이라도 미국 기술과 소프트웨어를 사용했다면 러시아 수출 전 미 상무부의 허가를 받으라는 게 골자입니다.<br /><br />우리나라가 이 규칙 적용 면제 대상에서 빠지면서 대러시아 수출에 차질이 생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컸는데, 일단 한고비는 넘은 셈입니다.<br /><br />2020년 기준 삼성전자의 러시아 법인 매출은 약 4조3,963억 원이었고, 기아는 3조5,770억 원, 현대차는 2조8,300억 원이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수출길이 막히지 않아도 금융거래 단절로 인한 대금 회수 지연이란 또 다른 산이 남아 있습니다.<br /><br /> "수출 기업의 경우에는 대금 결제 위험을 피하기 위해 가급적 선수금 등 대금을 먼저 받고 물품을 사후에 선적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입니다. 무역보험을 가입해 대금결제 리스크를 완화할 필요가 있습니다."<br /><br />정부는 기업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FDPR을 포함한 미국과의 대러 수출통제 공조 협의를 신속히 진행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종력입니다.<br /><br />#러시아 #FDPR #수출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