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울시가 지난 10년 가까이 주거용 건축물에 일률적으로 적용해온 35층 높이 제한을 없애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토지의 주요 용도를 규정하는 용도지역제 개편과 도시철도 지상 구간의 지하화도 추진합니다. <br /> <br />서울시가 발표한 '2040 서울도시기본계획'을 김종균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성냥갑 같은 아파트 단지들이 한강 변을 따라 병풍처럼 늘어서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강 건너에서 보면 칼로 뚝 자른 듯 담벼락 스카이라인이 이어집니다. <br /> <br />서울 전역에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35층 높이 제한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서울시는 '2040 서울도시기본계획'에서 이 같은 35층 높이 기준을 삭제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2014년 박원순 전 시장 시절 수립된 '2030 계획'의 높이 제한이 10년 만에 사라집니다. <br /> <br />[오세훈 / 서울특별시장 : 위원회 심의를 통해서 대상지 특성에 맞는 적정 높이 계획을 결정해서 다양한 경관을 창출하고 품격 있는 도시를 조성해 나가겠습니다.] <br /> <br />높이 제한이 없어진다고 해도 아파트 용적률이 상향되는 것은 아닙니다. <br /> <br />용적률은 묶어두되 높고 낮은 단지들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외국처럼 뚱뚱한 저층, 홀쭉한 고층 등이 조화롭게 어울리는 스카이라인이 기대됩니다. <br /> <br />[김인회 / 서울연구원 도시공간연구실장 : 높이 자체는 주택공급에 있어서는 큰 영향은 없지만 그걸 통해서 재개발 재건축 사업을 촉진할 수 있는 동기가 되니까 양질의 주택을 공급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는….] <br /> <br />문제는 사업성인데, 공사설계비가 두 배 이상 들어갈 경우 강남 외에 마땅한 곳이 없습니다. <br /> <br />아울러 도시계획의 기본 틀인 용도지역 체계도 손보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용도지역은 주거, 상업, 공업, 녹지로 구분되는데, 변경이 어렵다 보니 다양한 도시 모습을 담기 어렵다는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필요하면 한 지역에 복합적인 기능을 배치할 수 있도록 '비욘드 조닝'(Beyond Zoning)을 시도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오세훈 / 서울특별시장 : 용도 도입의 자율성을 부여하고 복합적인 기능 배치를 가능하게 재빠르게 변화하는 미래 도시를 담아낼 수 있는 새로운 도시계획체계입니다.] <br /> <br />현재 서울에서 100km가 넘는 지상 철도 구간도 단계적으로 지하로 만듭니다. <br /> <br />아울러 도보 30분 이내에서 주거와 일자리, 여가를 모두 누리는 '보행일상권' 개념도 도입합니다. <br /> <br />서울시는 올해 공청회를 비롯해 국토교통부 등 관련 기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종균 (chongkim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20303211435843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