민간인 대피 안했는데…휴전 무산 속 러 공격 재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앞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현지시간 5일 남부 마리우폴을 비롯한 두 곳에서 민간인 대피를 위해 임시 휴전한다고 발표했었는데요.<br /><br />민간인들이 미처 대피하지도 못한 상황에서 러시아가 두 곳의 임시 휴전을 멈추고 공격 행위를 재개한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국제담당 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. 정다미 기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러시아 국방부는 현지시간 5일, 민간인 대피를 위해 합의했던 마리우폴과 볼노바하 등 두 곳의 휴전을 멈추고 '공격 행위'를 재개한다고 선언했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 국방부는 "우크라이나 측이 휴전을 연장하려는 의지를 보이지 않았다"고 공격 재개 이유를 밝혔는데요.<br /><br />또 "단 한 명의 민간인"도 인도적 통로를 통해 빠져나가지 못했다"며, "도시 주민들이 민족주의자들에 의해 인질로 잡혀 있다"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반면에 우크라이나 측은 러시아가 공격을 멈추지 않아 민간인 대피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고 반박하면서 진실 게임 양상으로 흐르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국제적십자위원회도 마리우폴 등 두 지역의 민간인 대피가 시작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이러한 상황에 대해 영국 국방부는 "러시아가 임시 휴전을 제안했던 것은 국제적인 비난을 피하기 위한 시도일 가능성이 있다"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"우크라이나가 합의를 깼다고 비난함으로써, 러시아는 현재와 향후 해당 도시의 민간인 사상자에 대한 책임을 전가하려 할 것"이라는 설명입니다.<br /><br />또 "러시아가 휴전 제안을 통해 공격 재개에 앞서 부대를 재정비했을 수 있다"고도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런 상황에서 우크라이나 측은 러시아와의 3차 평화회담이 1~2일 내 열릴 것이라고 밝혔다고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3차 평화회담이 하루 이틀 내에 열릴 것이라고 우크라이나 대통령실이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또 "현재 인도주의 통로가 어떻게 가동될지를 평가하고 있다"며 협상 과정에서 필요하면 인도주의 통로와 관련한 수정을 가하기 위해서"라고 설명했는데요.<br /><br />한편 러시아의 공세는 계속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 국방부는 "우크라이나 남부 헤르손 인근 군사기지를 장악했다"며 "탱크와 장갑차 등을 전리품으로 확보했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러시아 측 피해도 만만치 않은데요.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동영상 성명을 통해 전쟁 시작 후 열흘간 러시아군 1만명이 숨졌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또 우크라이나군이 수도 키이우 등 중부·동남부 주요 도시의 통제권을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고, 러시아군은 하르키우, 미콜라이우, 체르니히우, 수미 지역을 봉쇄하려고 한다고 덧붙였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글로컬뉴스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#러시아_공격재개 #우크라이나_임시휴전_결렬 #3차평화협상_곧시작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