러시아가 조만간 국가 부도 사태, 디폴트에 빠질 위기에 놓였습니다. <br /> <br />첫 고비는 바로 내일인데요, 국내 경제에 미칠 파급력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. 조태현 기자! <br /> <br />러시아가 내일 디폴트 사태를 겪을 가능성이 크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러시아는 당장 내일, 달러화 국채에 대해 이자를 지급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액수는 1억 1,700만 달러, 우리 돈으로 1,400억 원가량입니다. <br /> <br />지금 상황을 보면 러시아가 이자를 내지 못해서 디폴트에 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디폴트는 빌린 돈의 원금이나 이자를 갚지 못하는 채무불이행을 말하는데, 일반적으론 국가 규모일 경우에 주로 쓰는 말입니다. <br /> <br />쉽게 말하면 국가가 부도를 내는 겁니다. <br /> <br />첫 고비인 내일을 버티더라도 다음 달 초까지 만기일이 잇따라 도래하는 만큼 러시아의 디폴트는 기정사실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우려가 현실이 되면 지난 1917년 볼셰비키 혁명 이후 러시아의 첫 국제 디폴트가 됩니다. <br /> <br /> <br />러시아의 디폴트 사태를 우려할 만큼 상황이 나빠진 배경은 무엇인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역시 가장 큰 이유는 서방의 경제 제재입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 재무장관의 설명을 들어보면 러시아가 보유한 외환은 6,400억 달러, 우리 돈으로 800조 원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절반가량이 동결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돈이 없는 건 아니지만, 돈을 쓸 수 없는 상태인 겁니다. <br /> <br />또, 국제은행간통신협회 '스위프트'의 결제망 제재로 달러를 원활하게 융통할 수도 없습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는 제재를 받는 상황에서 이자를 갚지 않겠다는 뜻을 여러 차례 밝혀왔고, 설령 지급하더라도 자국 화폐인 루블화로 지급하겠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국채를 달러화로 발행했고, 루블화의 가치도 땅에 떨어진 상황이라 루블화로 돈을 갚겠다는 건 디폴트와 다를 바 없다는 데 대체적인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러시아는 지난 1998년에 모라토리엄을 선언했었는데, 이번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러시아는 1998년에 모라토리엄을 선언한 적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러시아는 소련 붕괴 직후로, 1997년 아시아의 외환위기로 원자재 수출에 큰 타격을 입은 상태였습니다. <br /> <br />모라토리엄은 지급유예를 뜻하는데요. <br /> <br />쉽게 말해 지금은 돈이 없어서 빚을 못 갚겠지만, 조만간 돈을 마련할 테니 기다려달라는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조태현 (chot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315125919465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