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러시아 국가부도 임박?…"금융보다 식량·원자재 위기"

2022-03-15 20 Dailymotion

러시아 국가부도 임박?…"금융보다 식량·원자재 위기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국제사회의 전방위 제재를 받는 러시아의 채무 불이행이 눈앞에 다가왔습니다.<br /><br />과거처럼 외채 지불정지가 아니라 부도에 직면한 건데요.<br /><br />한국에 미칠 직접적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지만, 러시아가 식량 수출 제한에 나서면서 안 그래도 비상인 물가에 기름을 붓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조성미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러시아의 국가부도가 현실화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달러 채권 이자 1억1,800만 달러, 1,462억 원 상당을 갚아야 할 시한이 도래했고, 이를 시작으로 국채 이자나 원금 상환이 줄줄이 예정돼 있는데,<br /><br />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금융제재로 갚을 길이 막혔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러시아는 아시아에 외환위기가 닥쳤던 1998년에도 국가 주 수입원인 원유의 가격 폭락으로 모라토리엄, 즉 지불유예를 선언한 적이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은 러시아 중앙은행의 해외자산이 동결되고 달러화 거래가 막힌 탓에 국가부도, 디폴트에 직면했다는 점이 차이입니다.<br /><br />실제, 러시아의 외환보유액은 6,200억 달러가 넘는 세계 5위 수준으로, 빚을 갚을 실탄은 넉넉한 편입니다.<br /><br />또, 2014년 크림반도 사태 이후 각국이 러시아에 대한 투자를 최소화해 연쇄 부도 우려도 낮습니다.<br /><br />오히려 문제는 다른 데 있습니다.<br /><br /> "러시아나 우크라이나가 전 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실물이나 금융에서 크지 않지만 원자재나 식량에서 공급 비중이 크기 때문에 글로벌 물가 문제가 제일 파급이 크지 않은가…"<br /><br />실제, 우크라이나와 함께 주요 곡물 생산국인 러시아는 최근 밀, 보리, 설탕 등의 수출을 일정 기간 금지했습니다.<br /><br />세계식량기구가 식량과 사료 가격이 최대 20%까지 오를 수 있다고 전망하는 가운데 서방의 제재에 맞선 러시아의 대응으로 세계 경기가 더 큰 물가 충격을 겪을 것이란 우려는 짙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조성미입니다.<br /><br />#러시아 #국가부도 #디폴트 #실물경기 #식량가격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