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재에 신음 중인 러, 국가부도 넘겼나…여차하면 파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서방 제재로 국가 부도 위기를 맞은 러시아가 달러화 국채 이자를 지급해 급한 불은 큰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외화 디폴트 위험은 여전하며 실제 디폴트로 갈 경우 신음 중인 러시아가 경제가 버티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입니다.<br /><br />김효섭 PD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리포터]<br /><br />지난 16일은 러시아가 국가 발행 채권의 이자나 원금을 갚지 못하는 국가부도, 즉 디폴트 상태에 빠지는지를 가늠하는 분수령이었습니다.<br /><br />2건의 달러화 표시 국채에 대해 약 1천450억 원의 이자를 그날까지 지급해야 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러시아는 이자를 달러로 지급했다고 주장했으나, 채권자들의 전언이 엇갈리면서 제때 지급이 이뤄졌는지 불분명한 상황.<br /><br />로이터 통신은 러시아가 일단은 디폴트 위기를 모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 2건의 국채에는 30일간 이자 지급 유예기간이 부여되는 만큼, 상황이 어떻게 변할지 단언하기 어렵다고 CNN 방송은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가 1917년 볼셰비키 혁명 이후 최초의 외화 디폴트를 맞을 수 있다는 우려는 여전합니다.<br /><br />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는 현지시간 17일 서방의 제재로 투자자들에게 송금하는 데 '기술적 어려움'이 크다면서 러시아의 국가 신용등급을 1단계 추가 하향했습니다.<br /><br />현재 러시아 정부와 가스프롬 등 국영기업들의 외화 부채는 약 186조 원에 달하며, 이달까지 지불해야 하는 이자만 약 8천855억 원이 넘습니다.<br /><br />문제는 외환보유액이 약 776조 원에 달하지만 서방의 제재로 상당 규모를 움직일 수 없다는 겁니다.<br /><br />디폴트가 실제 닥치면 이미 서방 제재로 인해 신음하고 있는 러시아 경제가 버티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입니다.<br /><br />신용도가 바닥으로 떨어져 외부 자금 조달 능력을 상실하게 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국제금융협회는 올해 러시아의 국내총생산이 전년 대비 30% 이상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효섭입니다.<br /><br />#러시아 #국가부도 #파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